ⓒ Joonhwan Yoon




Two Vertically Separated Buildings   Geumjeong-dong is an area where large and small buildings continue to appear and disappear due to a high demand for housing from the nearby industrial district and the demand for development in response to a large floating population from a local subway transit station.




ⓒ Joonhwan Yoon




Most of the buildings around the site are three or four stories tall and are lined up close to each other. This project had an important issue of scale, it also had to be built on a six-story scale. In order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the building heights in the existing alleys, to satisfy the business feasibility of the project, and the requirements of the client, the concept of “stacking two vertically separated buildings” was proposed. The building is divided into top and bottom masses, and the height of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mass is determined by matching the height with the surrounding buildings. While extending the skyline of the street, it was created to exist as a background of the urban landscape by being constructed a simple box that contrasts with an alleyway that is crowded due to sprawling development. The box in the bottom becomes a frame and the top mass contains the different shapes and sizes so that natural elements (plants, light, wind, etc.) can be inserted into the gaps in the top mass. We tried to give a “sense of vegetation” to the boring alleyway landscape.




ⓒ Joonhwan Yoon




Gap and Frame   Most of the new urban villas are combined with narrow and closed public spaces (elevator halls, staircases) and private household quarters. Interactions between neighbors cannot be expected in such an apartment house, and the common spaces exist as just pedestrian routes or evacuation passages. When we designed this building, we made sure that the stairs within the building were connected and opened as a continuous part of the street, and that the contact points with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the multi-sized gaps were secured between each household so that the residents could see the traces of plants, light, wind, and daily life. The residents, who are building users, constantly change the gaps, allowing them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naturally. The “gaps” and “frame” were first set and then the space. The areas between them were filled with private quarters, so that each unit was composed of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Various types of units, such as single or double studios, duplexes, and lofts, have been combined in this small apartment.




ⓒ Joonhwan Yoon




두 개의 매스 속 삶의 다양한 방식을 제안하는 공동주거공간, 그레이 팟 하우스

경기도 군포의 금정동은 인근 산업단지로부터의 높은 주거 수요와 지하철 환승 지역으로서 많은 유동인구에 대응한 개발 수요로 인해, 지속적으로 크고 작은 건물들이 생겨나고 사라지는 곳이다.




ⓒ Joonhwan Yoon




대상지 주변의 건물들은 대부분 3, 4층 규모로 서로 다닥다닥 붙고 줄지어져 있다. 본 프로젝트는 사업성 면에서 6층 규모로 세워지지 않으면 프로젝트가 시작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주변의 건물들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풍경을 만들어 내며, 프로젝트의 사업성 등의 다양한 건축주 요구사항을 동시에 만족할 제안이 필요했다. 우리는 ‘두 개의 매스를 수직으로 쌓는 개념’을 제안했다. 이렇게 그레이 팟 하우스의 상부와 하부는 시각적, 공간적으로 분리됐다. 하층부 매스의 높이는 주변 건축물의 높이와 이어지도록 설정됐다. 거리의 스카이라인을 이으면서도, 난개발에 의해 혼잡하게 느껴지는 골목길 풍경 속 대비되는 그레이 팟 하우스의 단순한 콘크리트 사각 박스는 도시 풍경의 배경으로 존재한다. 하층부의 콘크리트 사각 박스는 하나의 틀이 되고 상부에 형태가 다른 크고 작은 매스들을 품어내는데, 상층부 매스 틈 곳곳에 식물, 빛, 바람 등 자연을 접하는 요소들이 삽입되면서 기존에 무미건조하게만 느껴졌던 골목길 풍경을 생동감 넘치는 ‘식물감각’으로 변화시킨다.




ⓒ Joonhwan Yoon




도시의 신축빌라들은 대개 공용 공간과 사적인 세대별 주거공간으로 구성되는데, 공용공간은 협소하고 막힌 공간일뿐 아니라, 이웃 간 교류 공간으로 쓰이기 보다는 이동 공간과 피난 통로로써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그레이 팟 하우스는 건물 내 계단을 이용하여 거리를 걷는 행위를 연속된 공간으로서 이어지게 만든다. 열린 공간들과 각 세대들 사이에서 건물 외부와의 크고 작은 접점과 틈으로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과 일상의 흔적을 채우고 담을 수 있는 여지 공간을 제공한다. 거주자들은 지속적으로 건축물 곳곳의 틈 공간을 변화시키며, 건축물 내의 이웃들 간의 자연스러운 접근과 공유의 기회를 제공받는다. 우리는 ‘틈’과 ‘틀’의 공간을 먼저 결정하고 그 사이를 사적인 공간들로 채워가는 방식을 통해 각 세대 공간들마다 다른 평면과 구조의 공간들을 만들어 냈다. 이 작은 공동주택은 싱글 또는 더블 스튜디오 타입, 듀플렉스 타입, 로프트 타입 등 다양한 주거의 형태, 이웃들과 함께 살며 만들어갈 다양한 주거의 방식으로 새로운 골목길 풍경을 만든다.




ⓒ Joonhwan Yoon









DIAGRAM





SECTION





1st FLOOR PLAN







Architects   Byungchan Kim(Korea National Univ. of Arts) + Rhythmos Architects

Location   Geumjeong-dong, Gunpo-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Program   Multi-Unit house 

Site area   121.0m²

Building area   68.33m²

Gross floor area   236.41m²

Building scope   5F 

Building to land ratio   56.47% 

Floor area ratio   195.38% 

Principal architect   Byungchan Kim, Yoojin Kim 

Design team   (Rhythmos Architects)Bokyung Kim / Seol-a Baek, Miso Lee 

Collaboration   Utopian Architects & Planners 

Construction   Chae Heon Construction Co., LTD. 

Client   Mincheol Seong, Sujin Byun 

Photographer   Joonhwan Yoon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20년 10월호(Vol. 473)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October, 2020 issue of the magazine(Vol. 473).




'Architecture Project > Multi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XED USE IN MAGOK  (0) 2021.02.01
LE CSCR  (0) 2021.01.06
CONCRETE HOUSING  (0) 2020.12.01
Two-Close-Between  (0) 2020.11.25
SONG25  (0) 2020.09.30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