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angmook Kim




Mixed Use in Magok was built on the edge of Magok urban development Masterplan. While Gangseo-ro is difficult to call a pedestrian-friendly road due to the size of the street and the lack of a surrounding context program, Magok-Jungang-ro 7-gil was found with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an attractive pedestrian road along with the ongoing work of adjacent land and the development of research complex facilities. The project attempted to find an alternative that would activate city roads and provide a public connection channel with the influx of traffic lines and public spaces promoting communication in private buildings.




ⓒ Changmook Kim




The site is a rectangular shape and adjacent to a road accessible in both directions. It has adjacent buildings on North and South. Main entrance of the building connected to the public space, and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ear entrance through the corridor. The corridor serves as an extended city walkway that can be shared by pedestrians and users of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on the first floor, not just by inhabitants. The elevator hall was set aside to protect the living space on the upper floor of the building. These various attempts of urban corridors provide people with a channel of public movement and communication, while at the same time naturally activating shops in buildings. The main entrance is connected to the pedestrian resting area and landscape in the open space, and the largest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in the allowed area on the ground floor creates street activities. The overall shape of the plan is ‘H’ type to ensure a focused layout tailored to the core elements and a view of the front and rear. Such a floor plan makes the upper floor richer in light and view, and the community-sharing space of the two-story terrace and rooftop landscaping space in the pocket space created in the form of a floor plan creates communication among the inhabitants.




ⓒ Changmook Kim




Facade consists of a repetition of two stacked floors, shifted by half a module on every floor, depending on the directional reversal of the bedroom layout (inversion) of the residential unit. Limestone, the main material of the facade, subtly reveals the existence of the building through subtle changes in texture unique to natural stone, without a sense of alienation from the surrounding context. Elevation design is three-dimensional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light and shadow. The outer face of the metal panel and the glass finish are separated by 40mm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imestone, and by placing a frame that protrudes 30mm outwar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materials, each material exists within its own plane and continuously expresses planar difference. The planar difference between three materials was introduced based on the architect’s three-dimensional composition strategy to enable various visual interpretations with the changing daylight situation. The protruded frame creates an optical illusion effect, such as a crossing of diagonal lines on the entire facade, and would promote conversations between pedestrians about the experiences of roads, buildings, and cities in a monotonous street.




ⓒ Changmook Kim




도시 가로에 새로운 표정을 주는 입체적 패턴, 마곡 업무근린생활시설

70mm의 미학   마곡 업무근린생활시설은 마곡 도시개발사업 지구단위계획의 가장자리에 세워졌다. 강서로는 가로의 스케일과 주변 맥락 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해 보행자 친화적 도로라고 하기 어려운 반면, 마곡중앙8로 7길은 현재 진행 중인 인접 대지의 업무, 연구 복합시설의 개발과 더불어 매력적인 보행자 도로로 발전할 가능성이 보이는 곳이었다. 건축가는 사적 건물에 소통을 촉진하는 공적인 공간과 동선 유입으로 도시가로를 활성화시키고 공공적 연결 통로(Urban Corridor)를 제공하는 대안을 찾고자 시도했다.




ⓒ Changmook Kim





대지는 양방향에서 접근할 수 있는 도로와 남북이 인접 대지 건물이 인접한 직사각형의 땅이다. 공개공지와 연계하는 건물의 주 출입구가 있으며, 복도를 통해 후면부의 부 출입구까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복도는 세대민만의 공간이 아닌 보행자, 1층 근린생활시설 이용자들도 공유할 수 있는 연장된 도시의 보행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건물 상층부의 주거 공간을 보호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홀을 별도로 두었다. 이러한 공공 복도(Urban Corridor)의 다양한 시도는 사람들에게 공적인 이동과 소통의 통로 공간을 제공하며, 동시에 건물 내에서의 상점들을 자연스럽게 활성화시킨다. 주 출입구는 공개공지의 보행자 휴식공간이자 조경공간과 연계되며, 지상층에 허용한도 내 최대 크기의 근린생활시설은 가로의 활동을 만들어낸다. 전체적인 평면의 형태는 코어 요소에 맞춘 집중형 배치와 정면과 후면의 조망을 확보하기 위한 ‘H’형이다. 이러한 평면은 상부층의 풍부한 채광과 전망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며, 평면의 형태 상 만들어지는 포켓 공간(Pocket)에서 2층 테라스, 옥상 조경공간의 커뮤니티 공유공간은 세대민들의 소통을 만들어낸다.



ⓒ Changmook Kim




입면은 주거 유닛의 침실 레이아웃 방향 뒤집기(반전)에 따라 층마다 반 모듈만큼 이동하여 2층으로 엮인 반복으로 구성된다. 입면의 주재료인 라임스톤은 천연석 특유의 미묘한 텍스처 변화(Variation)를 통해 주변 컨텍스트와 이질감 없이 은은하게 건물의 존재를 드러낸다. 입면 디자인은 빛과 그림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입체화된다. 메탈 패널과 유리 마감의 바깥 면은 라임스톤의 바깥 면보다 보다 40mm 안쪽에서 단차를 형성하며, 두 재료의 경계부와 층간 경계에는 수직, 수평방향으로 30mm가 바깥쪽으로 돌출된 프레임(Protruded Frame)이 각각의 재료들은 고유의 평면에 존재하게 되며 지속적인 단차를 만들어낸다. 이렇게 소개된 3개의 평면(Plane)의 단차는 변화하는 주광 상황과 더불어 다양한 시각적 해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건축가의 입체적 구성전략이다. 돌출면이 정렬된 프레임(Protruded Frame)은 전체 입면에서 사선의 엇갈림 같은 착시효과를 만들어내며 단조로운 가로에서 길과 건물, 도시의 경험에 대한 보행자 간의 대화를 시도하도록 만든다.




ⓒ Changmook Kim


ⓒ Changmook Kim


ⓒ Changmook Kim









DIAGRAM





SECTION





1st FLOOR PLAN







Architects   Prof. Jaeyoung Lee(Hongik Univ.) + Interface Studios

Location   Gangseo-ro, Gangseo-gu, Seoul 

Program   Retail, Studio apartment 

Site area   1,285m²

Building area   719.98m²

Gross floor area   5,135.46m²

Building scope   B4, 10F 

Building to land ratio   56.03% 

Floor area ratio   399.65% 

Design period   2017. 10 - 2018. 12 

Construction period   2018. 4 - 2020. 4 

Completion   2020. 5 

Principal architect   Jaeyoung Lee 

Project architect   Jaeyoung Lee 

Design team   Myongki Seong, Jisuk Lee 

Construction   Welcron Hantec Co. Ltd 

Client   AMC Semichem Co. Ltd 

Photographer   Changmook Kim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20년 12월호(Vol. 475)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December, 2020 issue of the magazine(Vol. 475).




'Architecture Project > Multi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ILOS 503  (0) 2021.03.03
N781  (0) 2021.03.02
LE CSCR  (0) 2021.01.06
GRAY POT HOUSE  (0) 2020.12.02
CONCRETE HOUSING  (0) 2020.12.01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