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lburm Bong


The client said that her family wants to live a slow life. More exactly, lazy life. I thought of the slow life or lazy life as the very concrete reality, not as an abstract or metaphysical idea. The answer is not difficult. Lying down rather than sitting, sitting rather than standing is lazy and slow. A Translation of such physical laziness into architecture means that there are as many tactile surfaces for human body as possible. Wood is perfect material for that tangibility. In the house, almost every surface with which human skin contacts is made with wood. By trading off the numerical size of the floors, the inner space of the house can achieve different kinds of carefully furnished relaxing spots.


ⓒ Ilburm Bong


Zigzag plan traversing the site divides the land into two outdoor spaces. The one is the parking area and the other is courtyard isolated from the road. The inner courtyard opens to large public greenery. Southern part of the 1st floor slab is elevated to the level of the terrace. The different covering of floors according to the level makes a distinction between different functions. Tile is for standing activities, wood flooring is for sitting or lying. Continuity from inner wood floor to outside terrace deck reminds us natural adaption and openness of traditional house: lazy and slow.


ⓒ Ilburm Bong


호매실 느린 집

건축주는 이 집의 삶이 느리게 느리게 흘러가길 바랐다. 추상적이라면 추상적이라 할 “느린 삶” 또는 게으른 삶이 건축으로 번안되면 그것은 필연적으로 구체적이고 직설적일 수 밖에 없다. 서 있는 삶보다는 앉아 있는 삶이, 앉아 있는 삶보다는 누워 있는 삶이 느린 삶이라 생각했다. 달리 말하면, 집의 공간을 이루는 표면들 중 그 무엇에라도 몸이 닿아 있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그 삶은 나른하게 게을러진다. 그래서 이 집의 여기저기에는 몸이 부대낄 나무 가구들이 상당한 밀도로 짜여 들어가 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평수, 즉 바닥면의 넓이를 희생하는 대신 여러 가지로 느리게 몸을 이완시킬 수 있는 자리들을 얻었다.


ⓒ Ilburm Bong


평면의 형상이 길게 지그재그로 꺾여 대지 전체를 가로지르는 것은 이렇게 함으로써 도로를 향해 열려 있는 주차장과 안쪽의 마당을 분리하기 위함이다. 이 집의 남쪽으로는 인접 대지가 없이 녹지이므로 집 자체가 형성하는 경계 너머로는 모두 이 집만의 마당인 셈이다.


ⓒ Ilburm Bong


1층 거실의 내부면적을 줄이면서까지 넓은 테라스를 두고 테라스와 같은 높이의 마루가 이보다 낮은 타일이 깔린 거실 바닥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것 역시 몸이 직접 닿는 바닥과 딛고 서는 바닥 사이를 명확히 구분하여 앉거나 눕는 공간을 도드라지게 만들기 위해서였다. 의도하지 않았지만 1층의 마루 공간은 외부 테라스와 더불어 다분히 전통적인 한옥의 마루에서 볼 수 있는 편안한 느슨함을 갖게 되었다.


ⓒ Ilburm Bong









Architect   Ilburem Bong, MIMESE(Fartech Jeong) 

Location   Seosuwon-ro, Gwonseon-gu, Suwon-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Program   House 

Site area   253.10㎡ 

Building area   97.44㎡ 

Gross floor area   145.75㎡  

Building scope   2F 

Building to land ratio   38.50% 

Floor area ratio   57.59% 

Design period   2014. 4 - 12 

Construction period   2015. 3 - 8 

Completion   2015. 9 

Design team   Jaemin Hwang 

Mechanical engineer   WON ENC 

Electrical engineer   WON ENC 

Construction   WOODPARK(Byungwoo Park) 

Wood framing   Hyuncheol Lee 

Interior wood work   Gwangyeol Yu 

Client   Seongcheon Park 

Photographer   Ilburm Bong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19년 12월호(Vol. 463)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December, 2019 issue of the magazine(Vol. 463).










'Architecture Project > Single 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HOUSE EMBRACING SONG-DANG OREUM  (0) 2020.03.06
CEDAR HOUSE, PAJU  (0) 2020.03.04
ENDOGENIC HOUSE, DAEJEON  (0) 2020.02.28
RURAL BOOK HOUSE, SEOSAN  (0) 2020.02.27
HOUSE ON A HILLSIDE  (0) 2020.02.20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