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eyoun Kim


We decided to straightforwardly name this space Signature House instead of using oblique references. This is because the strong

impression from the first encounter was shown openly. An entrepreneur couple in their 50s requested the planning of this 198.3m2 lot to spend their old age. 


© Jaeyoun Kim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ir thoughts (opinions and tastes about the house) as the conversation continued, the very way they live was the decisive clue in constructing the form of the house. The space needed to have the weight of simplicity yet embrace the warmth within. In between close-set apartment complexes, the lot is situated in a town surround with low mountains, like a breathing hole. 


© Jaeyoun Kim


The lot was a form of land where in the southwest which looks towards the inner part of town, is good to receive sunlight, and a green belt can be viewed close by from the northwest, which looks towards the outer part of town. The lot as a border, there is a 5-meter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art of town. By having a basement, a higher lot level compared to the houses in the inner part of town could be planned which is a condition where visual expansion could be achieved. 


© Jaeyoun Kim


The mass corresponding to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which we face after entering the town, was made to be in harmony with the neighboring houses with no sense of incompatibility. The form of the building seen from the outside of town kept as simple as possible, giving it contrast to the surroundings. In order to secure the maximum area of the front yard, the interior space was pushed backwards, and we made the entrance a narrow staircase in between tall walls so that psychological tension as a transferring space can be felt. The dense warmth that is encountered when entering the interior space with this tension gives psychological security. 


© Jaeyoun Kim


We made the space regain its flow and keep a delicate balance by keeping the organization of spaces as simple as possible and by the use of big and small frames. As a result, the space became a space with a soft heart under a stern exterior through the process of exposing the hints received from the owners.


© Jaeyoun Kim


In the end, the space and the people who will lead their lives there are the only ones left in a residential space. The interesting thing is when the space is filled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ir thoughts and their way of life, then and then only is when their life starts to fill the space. We hope that this space as well, in the future, accumulates their lives and resembles the very way they live. 


© Jaeyoun Kim


시그니처 하우스

우리는 이 공간의 이름을 에둘러 표현하지 않고 직설적으로 시그니처 하우스라 정했다. 강렬했던 첫 만남의 인상을 가감 없이 드러냈기

때문이다. 전체 60평의 이 공간은 오십 대 사업가 부부가 노년을 보내기 위해 설계를 의뢰했다. 대화를 이어가면서 그들의 생각(집에 대한 의견들과 취향)을 이해하는 과정은 그들이 사는 모습 자체가 이 집의 형식을 구성하는 결정적인 단서가 되도록 했다. 단순함의 무게를

갖되 그 안에 온기를 품고 있는 공간이어야 했다. 


© Jaeyoun Kim


밀집된 아파트 단지 사이, 숨구멍처럼 낮은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에 위치한 대지는 마을 안쪽을 향한 남서쪽은 빛을 받기 좋고 마을 바깥쪽으로 향한 북동쪽은 근경으로 녹지를 조망할 수 있는 형태의 땅이었다. 대지를 경계로 마을 안쪽과 바깥쪽의 높이 차가 약 5m, 지하층을 두어 마을 안쪽의 집들보다 높은 대지레벨을 계획할 수 있어 시각적 확장을 얻을 수 있는 조건이었다. 마을에 진입하여 마주하는 건축의 지하층에 해당하는 매스는 나란히 나열된 이웃집들과 위화감 없이 어우러지게 하되, 마을의 바깥쪽에서 마주하는 건축의 형태는 될수록 단순하게 하여 콘크리트의 무게만을 두어 주위와 대립시켰다. 앞마당의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해 내부공간을 뒤로 물리고 높은 벽 사이의 좁은 계단을 통해 진입하도록 하여 전이공간으로서 심리적 긴장감을 갖도록 했다. 이 긴장감을 안고 내부공간에 들어섰을 때 마주하는 농밀한 온기는 심리적 안정감을 준다. 


© Jaeyoun Kim


공간과 공간의 조직을 가능한 단순하게 하고 크고 작은 프레임을 통해 다시 공간의 흐름을 갖게 함으로써 섬세한 균형을 이루는 공간이 되도록 했다. 결과적으로 이 공간은 주인으로부터 얻은 단서를 표면으로 드러내는 과정을 통해서 外剛內柔(외강내유)한 공간으로 구축된 셈이다. 주거공간은 결국 공간과 그곳에서 삶을 영위해 나아갈 사람만 남는다.  흥미로운 것은 그들의 사고와 삶의 방식을 이해하고 그것들을 공간에 담았을 때 비로소 그들의 삶이 담기어지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이 공간 또한 앞으로 그들의 삶이 축적되어 그들이 사는 모습 자체의 공간이 되길 바란다.


FLOOR PLAN


SECTION



Architect 100A associates

Location Giheung-gu, Yongin-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Program Housing

Site area 233㎡ 

Building area 110.19㎡ 

Gross floor area 311.87㎡

Building scope B1, 2F 

Building to land ratio 47.29% 

Floor area ratio 51.36% 

Design period 2017. 3 - 6 

Construction period 2017. 6 - 12 

Principal architect 100A associates 

Design team 100A associates 

Structural engineer HanEol Architect & Engineer 

Photographer Jaeyoun Kim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18년 10월호(Vol. 449)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Sep, 2018 issue of the magazine(Vol. 449).




'Architecture Project > Single 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Sun-Loft  (0) 2019.02.18
BEETLE  (0) 2019.01.30
Wirye I House  (0) 2019.01.17
Issa Megaron  (0) 2019.01.16
House W  (0) 2018.11.06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