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dition” is always burdensome. It is also not easy either when learning about or when teaching “tradition.” It’s kind of awkward and unnatural to bring out an academic topic such as “Korean Identity” in a field where you are accustomed to being requested to design a lot of inexpensive space. In fact, the theme of tradition is not so light that the vocabulary confers understanding, so I would like to avoid it if I can.
The client’s request for “Korea Traditional Premium” could not be as simple as words. If I agreed to avoid the use of styles such as tiled roofs and eaves while referring to the tradition, I thought that in the end, I had no choice but to start by asking for the fundamentals deep inside, and if it was a “real architecture,” I could answer the needs of the client. I recalled Le Thoronet Monastery, where Le Corbusier said that there would be no more authentic architecture like it, and Peter Zumthor’s work in dealing sincerely with materials became an excellent example. Jongmyo Shrine has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that cannot be left out because of the function of the charnel house.
The depth and width of my thoughts have changed much in the 10 years of the project. But if there are two concepts that have not changed from the beginning to the present, they are the thoughts of “materials and exposure.” First, in architecture, space is completed through the materials. “The beauty of raw materials,” which reveals the honesty of the materials as they are, is probably one of the biggest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thick, rough wood and granite, if not processed, are unshapely but give us extra comfort. As the design progresses, these materials occupy the most important place in the design. By placing the parking lot away from the building and arranging the courtyard and the wooden structure at the center, it was possible to enhance the spatial completeness.
The second is the exposure, which means the building sits on the ground. Hongjun Yoo pointed out that if you don’t think of “sitting,” you are just looking at the building and not the architecture, so traditional architecture places importance on harmony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Adaptation to nature can be found throughout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slopes surround so that the building so it is not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building is lower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it is not overwhelming in the existing landscape. As a result, the terraced carnel house was built like the original terrain. If the building had been lifted to stress its symbolism, the naturalness that it now has would not have been created.
Although the topic was a little heavy, I would like to pride myself that I have successfully completed the design, but there are regrets and pain that I could not participate in the supervision process for various reasons. Since supervision means the completion of the design, the present results are not adequate. If an architect establishes a design intent,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ill be a good building when the contractor and partners make an effort to implement it based on the design intent. I had a second thought on why an architect’s leadership was needed, but without this project, trees would not have been at the center of the design as they are now. Therefore, there is something special about this project. Written by: Kicheol Bae
‘전통’은 언제나 부담스럽다. 배울 때나 가르칠 때나 매한가지였고, 조금이라도 싸고, 많은 면적을 설계해 달라는 요청에 익숙한 실무현장에서 ‘한국성’과 같은 아카데믹한 논제를 입 밖으로 꺼낸다는 것은 어딘지 생뚱맞고 부자연스러운 일이다. 실제로도 어휘가 주는 무게감이 적지 않기에 피할 수 있다면 피하고 싶은 주제가 바로 ‘전통’일 것이다.
‘한국의 전통적 가치Korea Traditional Premium’를 담아 달라는 건축주의 요구는 말처럼 간단하지 않았다. 전통을 운운하며 기와지붕이나 처마선과 같은 양식적인 차용을 피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한다면 결국 내면 깊은 곳에서 근본을 묻는 일에서 시작할 수밖에 없고, ‘진실한 건축’이라면 건축주의 요구에 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르 코르뷔지에가 이보다 더 진실한 건축은 없을 것이라고 했던 르 토르네 수도원을 떠 올리게 되고, 재료를 진실하게 다루는 피터줌터의 작업은 더 없이 좋은 사례가 되었다. 봉안당이라는 기능적 이유만으로도 종묘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었다.
프로젝트가 진행된 10여 년이란 시간만큼이나 생각의 깊이나 넓이도 달라졌지만 처음부터 지금까지 변하지 않은 두 개의 개념이 있다면 ‘재료와 좌향’에 대한 생각이다. 첫째로 건축은 재료라는 물질을 통해 공간이 완성된다. 재료가 지닌 솔직함을 그대로 드러내는 ‘날 재료의 아름다움’이야 말로 전통건축이 지닌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다. 가공한 듯, 안 한 듯 굵고 거친 나무와 화강석은 투박하지만 우리에게 더 없이 편안함을 준다. 디자인이 거듭되면서 이들 재료는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주차장을 건물에서 멀리 물리고 중정과 목조건축을 중심에 배치하면서 공간적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다.
둘째는 건물이 대지에 앉는 모습을 의미하는 좌향坐向이다. 유홍준의 지적처럼 ‘자리 앉음새’를 생각하지 않는다면 건물만 보고 건축은 보지 않는 셈이라 할 정도로 전통건축에서 자연 환경과의 조화는 중요하다. 자신을 드러내기 보다는 자연에 순응하고 적응된 모습은 우리 옛 건축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건물이 외부환경에 드러나지 않도록 경사면을 에워싸며 기존의 경관에서 건물이 압도적이지 않도록 최대한 건물을 낮추었다. 그 결과, 테라스 봉안당은 원래의 땅의 지형처럼 자리한다. 상징성을 준다고 건물을 들어 올렸다면 지금과 같은 자연스러움은 만들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주제가 주는 무게감이 적지 않음에도 성공적으로 일단의 설계를 마무리했다고 자찬하고 싶으나 여러 이유로 감리과정에 참여할 수 없었다는 아쉬움과 아픔이 있다. 감리란 설계의 완성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현재의 결과가 충분하다 할 순 없다. 건축가가 디자인의도Design Intent를 세운다면 시공자와 협력사는 이를 바탕으로 구현 노력을 할 때 좋은 건축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 건축가의 리더십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생각을 다시 갖게 되었지만 이 프로젝트가 없었다면 지금처럼 나무가 설계 작업의 중심에 자리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기에 이 프로젝트에 특별함이 있다. 글 : 배기철
Architect Innovative Design Studio, Inc.
Location Mohyeon-myeon, Cheoin-gu, Yongin-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Program Memorial park
Site area 11,980m2
Building area 2,308.57m2
Gross floor area 6,279.44m2
Building scope B2, 2F
Building to land ratio 19.87%
Floor area ratio 22.45%
Design period 2009. 9 - 2018. 4
Construction period 2018. 3 - 2020. 6
Completion 2021. 3
Principal architect Kicheol Bae
Project architect Kicheol Bae, Dohyung Lee
Design team Sunghyun Yoon, Sungha Kim
Interior INHAUZ . MARKFRAN
Interior coordinator Jiahn Kim
Structural engineer Changminwoo Structural Consultants
Mechanical engineer North-star Engineering Co.
Electrical engineer Sejin elec. Engineering Co., Ltd.
Wooden structure engineer KyungMin Industrial Co.,Ltd
Supervisor Namho architecture
Construction IMA Construction.
Client YONGIN MEMORIAL PARK
Photographer Byeongsu Kim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21년 4월호(Vol. 479)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April, 2021 issue of the magazine(Vol. 479).
'Architecture Project >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NGLI GARDEN (0) | 2021.07.13 |
---|---|
THE VOXEL QUARANTINE CABIN (0) | 2021.07.09 |
TEA.ELTZ BUILDING(ONGOING) (0) | 2021.01.20 |
DAIN BUILDING(ONGOING) (0) | 2021.01.19 |
HANGREEN WOOD TOWER (0) | 2020.11.12 |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