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ungchae Park
The topic of future architecture is eco-friendliness and sharing. The direction of new residential spaces is in the replacement of concrete with wood, an eco-friendly material, and the creation of cooperative shared spaces. For this, ‘wood urbanism’ is an important design strategy. ‘Hangreen Wood Tower’ aimed to propose a ‘new type of residence through urban wooden architecture’.
ⓒ Youngchae Park
‘Hangreen Wood Tower’ has the keywords Korea’s first and best. It is a five-story wooden building that is 19.1 meters tall, the highest in Korea. During the early stages of the project, it was named as a tall-wood architecture, but its height and number of floors were actually insufficient to be called tall-wood. Nevertheless, ‘Hangreen Wood Tower’ showed the possibility of Manhattanization by exceeding the 18-meter height limit, and also had the meaning of becoming the signal of arguing for the repeal of old provisions.
ⓒ Youngchae Park
The keyword of Korea’s first refers to the fact that it achieved a 2-hour fire rating and that five stories were created with structural CLT. Structural cross laminated timber is a mass-timber made by crossing the direction of the wood in a perpendicular way. It is a material that cannot be left out in modern wooden architecture, and it would be impossible to even dream of wood urbanism without any CLT. The aggressive and challenging spirit of designers is needed in order to use new materials. This allows current architects, who are familiar with concrete, to think about the word ‘Tectonic’ again. Mock-ups are a crucial and essential task for new construction, and through this process, we were able to gather a considerable amou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 Youngchae Park
The architectural goal that was more important than using wood was to propose an appropriate shared space to a cooperative residential space. The shared library, shared terrace, shared reception room, etc. around the shared yard are closely related to creating a kind of place that increases locality and communal spirit. Sustainable development leads to lifestyle changes. Mass consumption must be transformed to eco-friendly consumption that considers nature and society. Sharing is an important element of creating a sustainable society and an important design weapon that can restore locality. This is why the shared space, which will be directly experienced and lived in by people, was an important core of the design, rather than creating a display exhibition hall that habitually appears and was demanded by the owner. At the beginning of the design, the road that connects to the yard and the shared terrace disappeared, but the shared library was turned into a ‘multi-care center’ for children. Although it was slightly inconvenient compared to a library that all local residents can use, the fact that it was maintained as a space that is used by local children until the end is this building’s gem-like value.
ⓒ Youngchae Park
도시형 고층 목조 건물, 영주 한그린 목조관
미래 건축의 화두는 친환경과 공유이다. 새로운 주거공간의 방향성은 콘크리트를 친환경 재료인 나무로 대체하고 협력적 공유공간 창출에서 있다. 이를 위해 ‘도시 목조화’는 중요한 디자인 전략이다. ‘한그린 목조관’은 ‘도시목조건축을 통한 새로운 주거 유형’을 제시하자는 목표가 세워졌다.
ⓒ Youngchae Park
한그린 목조관에는 국내 최초, 최고라는 수식어가 붙어 있다. 국내에서 최고 높이인 19.1m의 5층 목조건축물이다. 프로젝트 초기 고층 목조건축으로 명명되었으나, 사실 고층목조(Tall-Wood)라고 부르기에는 높이에서나 층수에서 부족함이 있다. 그럼에도 ‘한그린 목조관’은 높이 제한 18m를 넘어 고층화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또한, 구태의 법 조항 폐기를 주장할 신호탄이 되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국내 최초는 2시간 내화인증을 통과하고 구조용 집성판(CLT)을 5층으로 만들었다는 점이다. 구조용 집성판(Cross Laminated Timber)은 나무의 방향을 직각으로 교차하여 만든 중량목재(Mass-timber)로, 만약 CLT가 없다면 ‘도시목조화’를 꿈꾸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현대 목조건축에서 빠질 수 없는 재료다.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설계자의 적극성과 도전 정신이 필요하다. 콘크리트에 익숙한 현재의 건축인들에게 ‘구축(Tectonic)’이란 단어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새로운 구축을 위해서 목업(Mock-up)은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작업으로, 이 과정을 통해 많은 지식과 정보를 얻었을 수 있었다.
ⓒ Youngchae Park
나무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중요했던 건축적 목표는 협력적 주거공간에 적합한 공유 공간을 제안하는 것이었다. 공유마당을 중심으로 공유책방, 공유테라스, 공유사랑방 등은 지역성과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일종의 장소 만들기와 선이 닿아 있다. 지속가능한 개발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이끈다. 대량소비에서 자연과 사회를 고려한 친환경적 소비로 전환되어야 한다. 공유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중요한 요소이며 지역성을 회복시킬 수 있는 중요한 디자인 무기다. 건축주가 요청했던, 습관적으로 등장하는 전시홍보관을 만들기보다는 사람들이 직접 체험하고 생활할 공유공간은 그래서 중요한 디자인의 핵심이었다. 설계 초기, 마당으로 연결된 길과 공유테라스는 사라졌지만 공유책방이 아이들이 사용하는 ‘다돌봄센터’로 전환되었다. 모든 지역주민이 사용할 수 있는 책방과 비교하면 아쉬움이 없진 않으나 그래도 지역 아이들이 사용하는 공간으로 끝까지 유지된 것은 이 프로젝트가 지닌 보석과 같은 가치이다. 아이들이 뛰노는 마당에서 흘러나오는 웃음소리는 목조건축의 최고, 최초라는 수식어 보다 더 값진 건축적 열매라고 생각한다.
ⓒ Youngchae Park
ⓒ Youngchae Park
ⓒ Youngchae Park
ⓒ Youngchae Park
DIAGRAM
SECTION
2nd FLOOR PLAN
Architects INNOVATIVE DESIGN STUDIO. INC
Location Daehak-ro, Yeongju-si, Gyeongsangbuk-do, Republic of Korea
Program Research institute
Site area 933.80m²
Building area 424.58m²
Gross floor area 1,233.08m²
Building scope B1, 5F
Building to land ratio 45.47%
Floor area ratio 103.73%
Design period 2017. 3 - 11
Construction period 2018. 2 - 2019. 12
Completion 2019. 4
Principal architect Dohyung Lee
Design principal Kicheol Bae
Design team Dohyung Lee, Sunghyun Yoon
Structural engineer Changminwoo Structural Consultants
Mechanical engineer North-star Engneering Co.
Electrical engineer Sejin elec. Engneering Co, LTD
Construction Kyungmin industrial Co. LTD.
Client NIFS Forest resources dept
Photographer Youngchae Park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20년 9월호(Vol. 472)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September, 2020 issue of the magazine(Vol. 472).
'Architecture Project >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A.ELTZ BUILDING(ONGOING) (0) | 2021.01.20 |
---|---|
DAIN BUILDING(ONGOING) (0) | 2021.01.19 |
JYONI (0) | 2020.09.10 |
QUINCHO MOHOLY (0) | 2020.09.07 |
57STEPS+97GREENS (0) | 2020.06.25 |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