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UUIJIN.




The oblique line connecting the past and present   Jeon Bldg is an office building that was constructed in a factory area. The boiler factory nearby has a special story. Zincart, a famous boiler brand in the 80s, built their factory in the Paju area. At this time, the red bricks that wer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factory were those of the 1987 Seoul Detention Center (Seodaemun Prison), which was demolished and relocated to Uiwang-si, Gyeonggi-do. It is told that the bricks of Seodaemun Prison, which was built by the hard labors of our ancestors who were incarcerated in Gyeongseong Prison during the early 1900s due to the anti-Japanese movement, were large and hard that they did not break easily even when the workers hit them with hammers. How was the value of this material that has imbued into the building’s bricks and the site, applied to the new building?




ⓒ GUUIJIN.




The diagonal wall that is first encountered as the building is approached creates a variation within the landscape of the dull factory area. This oblique line is extended from the gable roof of the old factory situated at the back of the office building. The continued slope contains the meaning of inheriting the memories of the past building. When looking at the entire factory complex, the slope is continued from the new office building to the following red brick factory building, as well as the shape of the mountain behind the factory. By forming this simple yet physical continuity of the diagonal line, the architect created a contemporary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 (shape of the mountain), the old building (old factory built with the bricks of Seodaemun Prison) and the new building (Jeon Bldg). The new office building was constructed with achromatic bricks for such coexistence. The dark colored material seems to calmly and silently permeate into the original landscape. The office, which is constructed with black bricks that resemble the roof tiles of a hanok, creates a humble impression that is unique to this architecture. The restaurant is extended through the byway between the factory building and Jeon Bldg. The space of this byway, which appears as the red and black bricks are contrasted, forms an atmosphere where the past and present seem to coexist. Inside the office building, the sense of closure and isolation are appropriately in harmony with each other. The workspace was separated from the parking lot, and an office area, a resting area and a courtyard at the middle of the architecture are prepared for those working in the office. The small terrace on the second floor is a space for the workers to view and enjoy the sky and light, and it also contains the architect’s humorous sarcastic remark about the watchtower, a place where the breakouts and movements of Seodaemun Prison were monitored.




ⓒ GUUIJIN.




Since the site of the building was located higher than the exterior land at the front, railings of the retaining wall were necessary for safety reasons. The angle, interval and height of the ‘L-shaped’ angled railings that continue over the retaining wall, which was newly constructed from the parking lot to the power facility, were precisely designed to avoid them seeming excessively light or heavy for the communication with the landscape.




ⓒ GUUIJIN.




과거와 현재를 잇는 사선, 전 오피스 사옥

전 오피스 사옥은 공장지대에 세워진 사무용 건축물이다. 이 근처에 세워진 공장 건물은 특별한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 80년대에 유명했던 보일러였던 진카트 회사는 파주 일대에 공장을 짓게 됐다. 당시, 공장의 재료로 쓰이게 된 적벽돌은 경기도 의왕시로 이전, 철거되면서 사라진 1987년 서울구치소(서대문 형무소)의 것이었다. 1900년대 초 경성감옥에 수감된 선조들의 노역으로 지어진 서대문 형무소의 벽돌은 크고 재질도 단단해서 인부들이 해머로 두드려도 잘 부서지지 않았기 때문에 건축물 재료로 재활용됐다. 건물의 벽돌, 그리고 대지에 스며든 이 재료의 가치는 새로운 건물에 어떻게 적용됐을까.




ⓒ GUUIJIN.




건축물에 진입하면서 가장 먼저 보이는 사선의 벽은 무료한 공장일대의 풍경 속에서 변주를 일으킨다. 이 사선은 사옥 뒷편의 자리하고 있는 옛 공장의 박공 지붕으로부터 이어진 것이다. 이어지는 경사는 과거의 건축물의 기억을 이어받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전체적인 공장 단지를 바라보았을 때, 새로운 사옥 건축물과 그 뒤에 이어지는 적벽돌의 공장 건물, 그리고 공장 뒤에 자리잡은 뒷산의 산세까지 사선으로 이어진다. 건축가는 이 단순하면서도 물리적인 사선의 연속성을 구축하는 것으로 땅(산세)과, 오래된 건물(서대문형무소의 벽돌로 지어진 옛 공장), 새로운 건축물(전 오피스 빌딩) 간의 동시대적인 유대관계를 만들어 냈다. 이런 공존을 위하여 새로운 오피스 빌딩은 무채색 계열의 벽돌로 만들어졌다. 어두운 컬러의 재료는 차분하고 고요하게 본래의 풍경 안으로 스며드는 것 처럼 보인다. 한옥의 기와처럼 검은색을 띈 벽돌로 만들어진 오피스는 이 건축물만의 겸허한 인상을 만들어 낸다. 식당은 공장 건물과 전 오피스 빌딩의 사잇길로 이어진다. 적벽돌과 흑벽돌이 대비되면서 나타나는 이 사잇길의 공간은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듯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오피스 빌딩 안은 폐쇄와 격리가 적절히 어우러져 있다. 작업이 이뤄지는 작업장과 주차장을 구분짓고, 오피스에서 근무하는 이들을 위한 사무 공간과 휴식 공간, 그리고 건축물 가운데의 중정이 마련되어 있다. 2층의 작은 테라스는 근무자들을 위한 장소로, 하늘과 빛을 조망하고 향유하는 공간이다. 서대문 형무소의 탈옥과 동태를 감시하는 장소인 망루를 비꼬는 건축가의 유머가 담겨있기도 하다.




ⓒ GUUIJIN.




오피스 건물이 자리한 대지는 전면의 외부 대지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안전상의 이유로 옹벽의 난간이 필요했다. 주차장부터 발전 시설까지 새로이 구축된 옹벽 위로 이어지는 ‘L형’ 앵글 난간은 풍경과의 소통을 위해 지나치게 가볍거나 무거워 보이지 않도록 앵글의 각도와 간격과 높이가 디테일하게 설계되어 있다.




ⓒ GUUIJIN.


ⓒ GUUIJIN.








SECTION



1st FLOOR PLAN






Architects   LKSA

Location   Jurawi-gil, Paju-eup, Paju-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Program   Office 

Site area   5,913.00m²

Building area   2,140.17m²(Extension_92.17m²)

Gross floor area   2,444.45m²(Extension_162.45m²) 

Building scope   2F 

Building to land ratio   36.19% 

Floor area ratio   41.34% 

Completion   2020. 2 

Principal architect   Keunsik Lee 

Project architect   Seoungwook Jo 

Client   Daedong Corporation 

Photographer   GUUIJIN.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20년 6월호(Vol. 469)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June, 2020 issue of the magazine(Vol. 469).




'Architecture Project > Off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EIL BUILDING  (0) 2020.08.18
MIGHTY BUILDING FACADE ARCHITECTURE  (0) 2020.08.12
CITIC TOWER  (0) 2020.07.08
COLLINS HOUSE  (0) 2020.07.07
GUOSEN SECURITIES TOWER  (0) 2020.07.06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