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inbo Choi




Old alienation, Sungin 1-dong Sungin 1-dong is an old neighborhood located next to the new apartment complex. As a result, the living environment and landscape are in contrast with the apartment walls. Residents of the apartment complex live a pleasant life within the fence. This is because the subsidiary welfare facilities that correspond to the living infrastructure were sold together with the apartments. On the other hand, residents outside the fence of the apartment do not. This is because the living infrastructure has not been purchased. In fact, additional welfare facilities such as the path hall, library, and community space, which are supplied by the private sector as an apartment complex, are the living infrastructure that the public must provide. However, even in Korea, where the private sector has led the supply of housing in complex units, even the living infrastructure has become a product. As a result, citizens have a living infrastructure suitable for their income level. This is the reason why the living infrastructure of Sungin 1-dong residents is poor. Sungin 1-dong has many native residents. The average age of residents is also high. In other words, it is a town with little influx of young people. That’s why the atmosphere in the neighborhood seems somewhat depressed.




ⓒ Jinbo Choi




Small intervention, Sungin space In order to improve the inclined situ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and revitalize the neighborhood, a Sungin space was created on the Dongmangsangil in Sungin 1-dong. Sungin space is largely divided into two areas. The first floor is a shared space that anyone can use if they pay a certain fee. Here you can have a variety of meetings, from study gatherings to social gatherings. For reference, the shared space is created with the intention of the use of both outsiders, residents of the neighborhood, and residents of the shared housing. And from the 2nd to the 5th floor, it is a youth shared house that will revitalize the neighborhood.




ⓒ Jinbo Choi




New prototype Shared housing is a new lifestyle created for economic reasons. A new lifestyle is bound to require the emergence of a new residential style. However, most of the new lifestyle is contained in existing residential spaces such as apartments and multi-family houses. The birth of a shared house is the former house of lodgings. Lodgings in the past and current shared housing have something in common: renting rooms, which are the minimum residential units. Of course, the latter is contained in a significantly upgraded environment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compared to the former. In order to secure housing rights, lodgings were fostered in the 1980s in the form of multi-family and multi-unit housing. Shared housing also requires a legal process of fostering.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a sustainable form of shared housing in the era of one-person households.




ⓒ Jinbo Choi




Shared housing extends the shared area from the outside (city) to the inside (residential).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e and the square is replac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om and the living room. If so, the room in the shared housing should be as personal as possible. This is because people need a private shelter (home) to be able to afford to hang out at the plaza. This is why the mass is divided and the room is made as an independent space despite being a small house. As a result, each room can be ventilated individually and the scenery and lighting doubles. On the other hand, the shared space on the first floor connected the divided mass transparently. And the front (including the front door of the house) facing the street was also opened transparently. It is to provide lively scenery on the streets and welcome residents with a lively atmosphere. As a result, this will enable visual exchanges between residents of shared housing and local residents, becoming a starting point for recognizing each other as neighbors.




ⓒ Jinbo Choi




새로운 생활방식을 제안하는 곳, 숭인공간

오래된 소외, 숭인1동 숭인1동은 신축 대단지 아파트 옆에 자리한 노후한 동네다. 그러다보니 아파트 담장을 경계로 생활환경과 풍경이 대조적이다. 아파트 단지 입주민들은 울타리 안에서 쾌적한 생활을 한다. 생활 인프라에 해당되는 부대 복리시설을 아파트와 함께 분양 받았기 때문이다. 반면 아파트 담장 밖 동네 주민들은 그렇지 못하다. 생활 인프라를 구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실 민간이 아파트 단지로 묶어 공급하는 경로당과 도서관, 커뮤니티 공간 같은 부대복리시설은 공공이 제공해야 하는 생활 인프라다. 하지만 민간이 단지단위로 주택공급을 주도해온 한국에서는 생활 인프라마저 상품이 되어 버렸다. 그 결과 시민들은 소득수준에 맞는 생활 인프라를 갖게 되었다. 숭인1동 주민들의 생활 인프라가 빈약한 이유다. 숭인1동은 토박이 주민이 많은 편이다. 주민 평균 연령도 높다. 다시 말해 젊은 인구 유입이 적은 동네라는 얘기다. 동네 분위기가 다소 침체되어 보이는 이유다.




ⓒ Jinbo Choi




작은 개입, 숭인공간 생활환경의 기울어진 상황을 개선하고 동네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숭인1동 동망산길에 숭인공간을 조성했다. 숭인공간은 크게 두 영역으로 나뉜다. 1층은 소정의 이용료만 부담하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유공간이다. 이곳에선 스터디 모임부터 친목 모임까지 다양한 모임을 할 수 있다. 참고로 공유공간은 외지인과 동네주민 그리고 셰어하우스 입주민 모두의 사용을 염두하고 조성한 공간이다. 그리고 2층부터 5층까지는 동네에 활력을 불어넣을 청년 공유주택이다.




ⓒ Jinbo Choi




뉴 프로토타입 공유주거는 경제적 이유로 탄생한 새로운 생활방식이다. 새로운 생활방식은 새로운 주거형식의 출현을 요구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 새로운 생활방식은 대부분 아파트나 다세대주택 같은 기존 주거 공간에 담긴다. 공유주거의 모태는 과거의 셋방살이다. 과거 셋방살이와 현재 공유주거는 최소 주거단위인 방을 임차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물론 후자는 전자에 비해 양적, 질적으로 상당히 업그레이드된 환경에 담긴다. 셋방살이는 주거권 확보 차원에서 80년대 다세대, 다가구 주택이라는 주거 형식으로 양성화됐다. 공유주거 역시 법적 양성화 과정이 필요하다. 1인 가구 시대를 맞이해 지속가능한 공유주거 형식을 고민해봐야 한다는 얘기다.




ⓒ Jinbo Choi




공유주택은 공유 영역을 외부(도시)에서 내부(주거)로 확장한다. 다시 말해 주택과 광장의 관계가 방과 거실의 관계로 고스란히 치환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공유주택의 방은 최대한 사적인 성격을 지녀야 할 것이다. 내밀한 쉼터(주택)가 있어야 광장에서 어울릴 여유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소형주택임에도 불구하고 매스를 분할, 방을 독립된 공간처럼 만든 이유다. 그 결과 각 방은 개별 통풍이 가능하며 풍경과 채광도 두 배가 된다. 반면, 1층 공유공간은 분할된 매스를 투명하게 연결했다. 그리고 거리에 면한 전면(주택 현관문 포함)도 투명하게 개방했다. 거리에 활기찬 풍경을 제공하고 입주민들을 생기 있게 맞이하기 위해서다. 결과적으로 이는 공유주택 입주민과 지역주민의 시각적 교류를 가능케 해 서로가 이웃임을 인지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 Jinbo Choi











SECTION



4th FLOOR PLAN







Architects   SPACE MATTER

Location   Dongmangsan-gil, Jongno-gu, Seoul, Republic of Korea 

Program   Shared space, Residence 

Site area   76.7㎡ 

Building area   45.34㎡

Gross floor area   153.9㎡

Building scope   5F 

Building to land ratio   58.57% 

Floor area ratio   199.78% 

Design period   2018. 10 - 2019. 4 

Construction period   2019. 5 - 12 

Completion   2019. 12 

Principal architect   Sanghyun Jeon 

Project architect   Sanghyun Jeon 

Design team   Jungmin Lee 

Structural engineer   Hangil Engineering 

Mechanical engineer   Daemyung Engineering 

Electrical engineer   SD Engineering 

Construction   Re_one Architects 

Client   space matter 

Photographer   Jinbo Choi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20년 6월호(Vol. 469)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June, 2020 issue of the magazine(Vol. 469).




'Architecture Project > Multi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ONGNAM-DONG DANDELION-COURTYARD  (0) 2020.06.26
ZIPDAESUNG  (0) 2020.06.18
WOLJEONG-SOGUL  (0) 2020.06.05
MILESTONE SG  (0) 2020.06.04
GOLMOG HOUSE  (0) 2020.05.29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