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angmook Kim


One hour away from Seoul, the site is located in the heart of the famous mountainous lake retreat region of Yangpyeong. Sitting in a valley of a small mountain with a stream to the front, it is where a historical small buddist temple site exist. When the architects were approached initially, the client had already went through the process of getting a planning permission for a Columbarium complex and were granted construction completion after building three temporary structure on the permitted site with the original temple relocated onto the roof of the main columbarium building structure to maintain its religious function.


ⓒ Changmook Kim


The architects were given the challenge to redesign the small 127㎡ floor area main structure into a fully functioning Columbarium for 1,500 urns where its differentiated design approach had to attract different customer base away from the common mega scale Columbariums in Korea that are 10~40 times larger.


ⓒ Changmook Kim


With this brief the architect started by analysing existing columbariums of different scales, regions and countries to understand and to define the current architectural design language of the Korean columbarium culture. It was an important issue for the architects to understand yet to steer away and progress on from the current Korean columbariums culture that has what the architects believe ‘lost its spiritualness and evolved into somewhat of an over commercialised spaces due to its huge business opportunities’ This complex issue of over commercialized columbarium as a business and its direct relation to architecture became the main focus for the architects on defining the new identity of this columbarium where as this being a miniature columbarium with small scale business operations it had potential to set aside from mega columbarium to provide a very private and bespoke exclusive services to cater for the families. Architecturally providing a spiritual environment and bespoke exclusive special experience through out.


ⓒ Changmook Kim


Working with the pre-constructed rectangular structural shell, the architects saw the front facing facade as the most crucial point of interaction with customers. It is where first impression view of the building, entry and exiting, corridor experience had to be all achieved with this single facade. These multiple facade interactions were categorized into 5 sequences and the architect designed a diagonally positioned 3D facade that gave different experiences according to each interactional sequence.

1. Mounumental yet calm approach / 2. Opening of the facade on entry / 3. Room directionally oriented corridor walls / 4. Facade corridor bench / 5. Opening to mountain views on exiting The facades framed windows also lets in large amount of natural light yet not disturbing the spiritual calmer experience necessary inside the private rooms. Its integrated hidden led light within the facade acts as the main light source for the exterior.


ⓒ Changmook Kim


With only a hand full of companies who specialise in making and installing specialised urn shelves, available design options were very limited to choose from. In search of custom bespoke design throughout the building architects decided to redesign these specialised shelves from scratch to get exactly how wanted. After going through few prototypes final design was fixed then manufactured. The architects managed and arranged the manufacturing process directly to keep the overall cost down.


ⓒ Changmook Kim


가연추모관


서울에서 한 시간 거리, 산과 호수로 유명한 양평의 중심부에 자리한 추모관이다. 부지는 골짜기로 둘러싸여 있으며 정면에는 냇물이 흐르고 작은 불교사찰이 있는 곳이었다. 프로젝트 시작 전, 클라이언트는 납골당 계획의 허가 과정을 거쳐 3개의 임시 구조물을 준공한 후 사용승인까지 받아놓은 상태였다. 기존 불교사찰은 종교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주건물 구조 위에 재배치되어 있었다.
비교적 소규모인 127㎡ 크기의 공간 내에서 약 1,500기의 납골함 안치가 가능한 계획이 필요했다. 또한, 해당 대지에 10~40배 넓이에 해당하는 일반적인 국내의 대규모 납골당의 기능을 갖춰야만 했으며, 대규모 납골당과는 차별화된 디자인 접근법으로 면적 127㎡의 구조물을 재해석하는 과제를 부여받았다.


ⓒ Changmook Kim


프로젝트는 동시대의 국내 납골당의 디자인 언어를 이해하고 정의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와 지역의 납골당을 분석하는 것부터 시작되었다. 프로젝트의 골자는 ‘영적인 공간으로 해석되어야 할 프로그램이지만 상업성에 치우치게 된’ 동시대의 국내 납골당의 문화와 거리를 두면서 더 나아가야 하다는 것에 있었다.
상업성에 치우친 납골당의 이슈 그리고 사업성과 직접 연관된 건물의 규모는 새로운 납골당의 아이덴티티를 정의하는 데에 중요한 구심점이 되었다. 협소한 공간, 작은 사업 규모는 대규모 납골당과 달리 개인에 맞춘 서비스와 건축 공간의 체험에 대한 잠재성을 의미한다.


ⓒ Changmook Kim


기존의 골조를 사용하는 조건에서 파사드가 방문객과 소통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지점이라고 판단하였다. 건물의 첫인상, 입구와 출구, 복도에서 체험할 경험 등이 모두 하나의 파사드로 해결되어야 했다. 이러한 다양한 상호작용을 5단계의 시퀀스로 분류하였으며, 사선으로 배치된 파사드로 만들어진 시퀀스를 통해 내러티브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1. 상징성을 지니면서 동시에 고요한 접근의 언어 / 2. 출입을 위한 파사드의 개구부 / 3. 방으로의 방향성을 지닌 벽 / 4. 파사드 복도의 벤치 / 5. 퇴장 시 보이는 풍경 파사드의 창문 프레임은 충분한 자연광을 제공하지만, 납골 공간에 필요한 고요함을 해치지 않도록 조정하였다. 파사드에 숨겨진 간접조명은 파사드 외부조명의 역할도 한다.


ⓒ Changmook Kim


안치단 제작업체의 선택지가 한정적이었기 때문에 제작을 기본 자재부터 마감까지 단계별로 수행키로 하였다. 몇 가지 프로토타입 제작을 거쳐 제작에 착수하였고, 자재선정, 절곡 및 절단, 용접, 분체도장 마감, 운송 그리고 설치까지 모든 공정을 관리하며 생산 단가를 조절하였다.
현재는 소규모 납골당에서 대규모 납골당 단지로 확장하기 위해 수직증축과 두 개 동 증축을 계획 중이다.








Architects   EHHO STUDIO + ADOH

Location   Geonjimi-gil, Yangseo-myeon, Yangpyeong-gun,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Program   Columbarium 

Site area   570㎡ 

Building area   136.54㎡ 

Gross floor area   299.74㎡

Building scope   1F 

Building to land ratio   23.95% 

Floor area ratio   29.64% 

Design period   2018. 12 - 2019. 1 

Construction period   2019. 1 - 5 

Completion   2019. 5 

Principal architect   Taeho Kim, Seokyoung Ham 

Project architect   Taeho Kim, Seokyoung Ham 

Design team   Jaehee Lim

Construction   EHHO STUDIO + ADOH 

Client   GAYEON COLUMBARIUM 

Photographer   Changmook Kim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19년 8월호(Vol. 459)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August, 2019 issue of the magazine(Vol. 459).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