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 the first site exploration, the schedule was planned to identify trends in surrounding buildings, but it was canceled. Because there are already good feelings in Jeju. The sway of the reed field wind, which is seen walking along the blue sea, the rough wind with a strange feeling, the yellowish rape field, the basalt black stone, and the gentle uphill, is a different emotional line from daily life on land. Rather than the building standing out, I hope it doesn't distract the good emotional lines that can be felt in Jeju Island as it was originally in this good natural environment, and I just set the direction of the big concept of 'just here...'
There are a lot of hills in Jeju Island. Seongsan Ilchulbong is one of them. Oreum is called a parasitic volcano due to a small volcano formed next to a large volcano. Our mass was intended to look like a small oreum that originally existed on Jeju Island, not a beautiful concept wanted to naturally permeate the image of "oreum," which had been submerged in the sea from Orrrn's mass. Therefore, a cascade mass rises from the water space around the land. Mass rising from the water connect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extending the appearance of continuous climbing.
I imagined the attitude of feeling the northern sea with the amount of natural light and the feeling of feeling the southern field. The first floor of a mass rising from the water space is higher than the ground level. You have to climb a little slope to feel the sea inside the first floor. On the floor of the first floor, the clear blue horizon of the northern sea unfolds. Seen from a height slightly higher than the ground, the sea overlaps with the sight of cars on the road ahead, bicycles, or pedestrians, in a good way.
When you look at the building, it is divided into the left mass, which is the first floor structure, and the right mass, which is the second floor structure, and then goes up again to the right. The stairs were thought to be a volcanic island land (oreum), not a physical overcome to move to the second floor, and created a sequence of encounters with the surrounding nature as they climbed. On the 1.5th floor, where you can see the sea, there is an oreum staircase, and on the 0.5th floor, there is an unfamiliar concept bathroom surrounded by flowers that have bloomed on the ground from the beginning. On the 1.7th floor, a baking room is constructed by stacking bricks and climbing inside. When you climb up again and reach the second floor, the sea unfolds like a picture in a simple rectangle made by the wall.
It was the stone that constantly emerged during the first site construction process of architecture. The waves came out endlessly. The stone became a chair for the workers and served as a fixture for the health goods to withstand the wind. It was such a common material. This every day, 'common' existence is rather hard to spot. An exhibition stand was installed next to the stairs going up to the second floor to value the existence of stones from the land of "orrrn." The stone on display, which seems to be a valuable work, provides clues to the entire concept of this space.
"orrrn" is not focused on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or its shape or shape of the interior. I wanted to resemble the parasitic volcano "oreum," which was just here, which was part of the nature of Jeju Island. And I wanted to understand the feeling of looking up at the sea while climbing this place and draw a story about our attitude toward nature.
처음 현장 대지 답사 때 주변 건축물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일정을 계획했지만 이를 취소하였다. 제주엔 이미 좋은 감정들이 있기 때문이다. 푸른 바다색, 낯선 느낌의 거친 바람, 노랗게 물든 유채꽃 들판, 현무암 검정색 돌, 완만한 오름을 걸으며 보는 갈대밭 바람의 흔들림은, 육지에서의 일상과는 다른 감정선이다. 건축물이 도드라지기보다는 이 좋은 자연환경에 원래 있었던 것처럼, 제주도에서 느낄 수 있는 좋은 감정선을 흐트러트리지 않기를 바라며 그저여기에....라는 큰 개념의 방향성을 잡았다.
제주도에는 많은 오름이 있다. 현장에서 보이는 성산 일출봉도 그 중 하나이다. 오름은 큰 화산 옆에 붙어서 생긴 작은 화산 때문에 생겨나 기생화산이라 불린다. 우리의 mass가 외관이 수려한 개념이 아니라 제주도 땅에 원래 있었던 하나의 작은 오름처럼 보이길 의도했다. Orrrn의 mass에서 바다에 잠겼던 땅이 솟아오른 ‘오름’의 모습이 자연스럽게 스며들었으면 했다. 그래서 대지 주변의 수공간에서 계단식 mass가 물 속에서 솟아오른 모습을 취하고 있다. 물 속에서 솟아오른 mass는 외부에서 내부까지 연결되며 계속해서 오르는 모습을 연장시킨다.
자연 빛의 양으로 북쪽 바다를 느끼는 태도와 남쪽 들판을 느끼는 감정을 상상해보았다. 수공간에서 솟아오른 매스의 일층 바닥은 지면보다 높다. 일층 내부에서 바다를 느끼려면 약간의 경사진 슬로프를 올라야 한다. 올라서 밟은 1층 바닥에서는 북쪽 바다의 선명하고 푸른 수평선이 펼쳐진다. 지면보다 살짝 올라온 높이에서 본 바다는 앞 도로의 차와 자전거 또는 도보를 걷는 사람들의 광경과 방해되지 않게 좋은 모습으로 겹쳐진다.
건물을 보았을 때 1층 구조인 왼쪽 매스와 2층 구조인 우측 매스로 나뉘는데, 우측 매스로 넘어가기 위해서 또 다시 오른다. 계단은 2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물리적 극복이 아닌 화산섬의 땅(오름)이라 생각하였고, 오르면서 주변 자연과 만나는 상황(시퀀스)을 만들었다. 반계단 올라 만나는 1.5층에서는 바다를 바라볼 수 있는 오름의 계단이 있고, 내려가 마주하는 0.5층에는 원래부터 땅에서 핀 꽃에 둘러싸여 있는 생소한 개념의 화장실이 있다. 1.7층에서는 벽돌을 쌓아올려 내부에도 오르는 공간을 건축한 베이킹실을 마주한다. 또 다시 올라 2층에 다다르면 벽체가 만든 단순한 직사각형 속에서 바다는 그림같이 펼쳐진다.
건축의 첫 대지구축 과정에서 끊임없이 나오던 것이 돌이었다. 파도파도 끝없이 나왔다. 그 돌은 작업자들에게는 의자가 되기도 하고, 보양재가 바람에 견딜 수 있게 고정의 역할을 하기도 했다. 그만큼 흔하디 흔한 소재였다. 이런 일상적이고 ‘흔한’ 존재는 오히려 눈에 띄기 힘들다. ‘orrrn’의 땅에서 나온 돌의 존재를 귀하게 여기고자 하는 마음으로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옆에 전시대를 설치했다. 귀하게 여기는 작품인 듯 전시된 돌은 이 공간의 전체 개념을 유추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orrrn’은 건축물의 외관 그리고 내부의 모양이나 형태에 집중한 게 아니다. 제주도 자연의 일부인 ‘그저 여기에 있던’ 기생화산 ‘오름’을 닮고자 했다. 그리고 이곳을 오르며 바다를 바라보는 감정을 이해하고, 이 곳에 담기는 자연과 관계하는 우리의 태도에 대한 이야기를 그리고 싶었다.
Architect Atmoround
Location Seongsan-eup, Seogwipo-si, Jeju-do, Republic of Korea
Site area 1,186m2
Gross floor area 672.4m2
Construction Hanrim Constructions (P) Ltd.
Landscape architecture Dewsong Place
Graphics Supermarket
Client orrrn
Floor Concrete, Brick tile, Green tile
Wall Concrete, Brick tile
Ceiling Concrete,Painting
Photographer Woojin Park
'Interior Project > Cafe&Restaura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aurant Lunar (0) | 2021.07.06 |
---|---|
GONGBECH - UNTOUCHABLE HEART (0) | 2021.06.30 |
ROLY-POLY COTTO (0) | 2021.02.19 |
ELECTRIC SHUFFLE (0) | 2021.02.18 |
NATURAL HIGH (0) | 2020.08.05 |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