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yung Roh




A method to keep the family’s memory alive   Mok-dong has named as ‘(A village with trees)’ because there has been many trees from the old times. The house, which was built in 1975, was a detached house having a courtyard with trees. This is the only remaining detached house in the village, and the last remaining courtyard garden. The house which is becoming almost 40 years old should be rebuilt because of its deterioration, and nowadays, to build a house in Seoul, it became an era to make neighbors and live with them together.


The building owner remembers the experience when his parents built the house with an architect in 1975. He wanted this memory to be conveyed to his kids, and the family started this project based on the reminiscence and an affection on this house and a land.




ⓒ Kyung Roh




A house with true heart   The previous house was a brick house built by an architect. When we checked the house before its demolition, it was a precisely built brick house. The family remember this house as an architecture with an important building procedure, not an architecture as a result. To keep the memory, we’d like to show a true heart of the brick house of 1975 in 2019 as well.


Many factors of the present house should be overcome. As it’s a corner plot which has surrounded by roads from 3 sides, it became a house where everyone can see. It could be a nice landscape of the village but also could not be free from others’ eyes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house and the views, some of the architectural devices were required, and we suggested a method to resolve those devices with details of the bricks.


A big shape of the architecture was made by composing a mass to possess the maximum of the plot, and empty some of the required parts. Those emptied parts could become a window, and a sloped side. Those parts cared the inhabitants by filling in the functional devices. A diagonal brick louver has installed in every window to block the western light and surrounding eyes. We suggested a brick masonry method which can secure more than 1/2 of openings which are satisfying setback regulation for terrace and others.




ⓒ Kyung Roh




A journey to the room   To get to the room in the previous detached house, its journey started by calling the owner from the wall gate, passing a courtyard and open the entrance and enter to the room.


As the number of multi household and multi family houses are increasing, most of them are making the 1st floor in piloti structure and yielding the space to the cars. By passing between the cars, and entering the dark bottom part of the building, we could meet a narrow staircase. When we open the entrance of our house, it’s inevitable to peep out the front house rather than a happy greeting.


We couldn’t avoid the piloti structure, but we made people to experience the other journey to the home in this building. A front door has planned respectively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iloti structured parking lot so that people could enter the house regardless of the cars. When you open the door and enter the house, you can meet a corridor, and the front door of each house has arranged along the long aisle so that people could not see each other’s house.




ⓒ Kyung Roh




브릭 19.75

가족의 기억을 지속하는 방법   목동은 옛날부터 나무가 매우 많아서 ‘木洞’이라 불리는 동네이다. 1975년에 지은 이 집은 나무가 있는 정원을 가지고 있는 단독주택이었다. 동네에 남은 유일한 단독주택이자 마지막 마당 정원이었다. 40년이 가까워지는 집은 노후화되어 다시 지어야 하고, 이제 서울에서 집을 짓기 위해서는 이웃을 만들어 같이 살아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건축주는 1975년 본인의 부모님께서 건축가와 집을 짓는 경험을 기억하고 계셨다. 이 기억을 본인의 자식들에게도 전달되기를 바라셨고, 가족은 이 집과 땅에 대한 추억과 애착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 Kyung Roh




정성으로 지은 집   기존 집은 한 건축가가 지은 벽돌집이다. 철거 전에 집을 살펴보니 매우 꼼꼼하게 지은 벽돌집이었다. 가족은 이 집을 물리적인 결과물 로서의 건물이 아닌, 짓는 과정이 중요한 건축으로 기억하고 있었다. 그 기억을 이어 가기 위해 1975년 벽돌집의 정성을 2019년에도 보여주려고 하였다.


현재의 집은 많은 것을 극복해야 한다. 세 면이 도로로 둘러싸인 모서리 땅이어서 모두가 바라보는 집이 된다. 동네의 좋은 풍경이 되는 동시에, 거주자는 주변의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이었다. 집의 향과 시선의 방향에 따라 건축적이 몇 가지 장치가 필요했고, 우리는 그 장치들을 벽돌의 디테일로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건축물의 큰 모양은 땅을 최대한 차지하도록 덩어리를 구성한 후, 필요한 부분을 비우는 방식으로 계획을 진행하였다. 비워낸 부분은 창이 되기도 하고, 깎인 면이 되기도 한다. 그 비워진 부분은 기능적인 장치를 채워 넣어 거주자를 배려하였다. 모든 창에는 서향의 빛과 주변 시선을 차단하는 벽돌 사선 루버를 설치하고, 테라스 등은 사선제한 법규를 만족하는 2분의 1 이상의 개구부를 확보할 수 있는 벽돌 조적 방법을 제안하였다.




ⓒ Kyung Roh




방으로 가는 여정   기존 단독주택은 방으로 가기까지 담장 대문에서 주인을 부르고 정원을 지나 현관문을 열고 들어가 방으로 가는 여정이었다. 대부분의 다가구, 다세대 주택들 세대수가 많아져 1층을 필로티 구조로 만들어 차들에게 양보한다. 차량 사이를 지나 어두운 건물 하부로 들어가 좁은 계단실을 만나게 된다. 우리 집 현관문을 열면 앞집과 반가운 인사보다는 앞 집의 거실을 엿볼 수밖에 없다.


우리는 필로티 구조를 피할 수는 없지만, 집으로 가는 또 다른 여정을 이 건물에서 경험하게 하였다. 필로티 구조의 주차장 반대편에 길에 접하는 현관문을 별도로 계획하여 차량과 상관없이 사람이 집에 들어가도록 하였다. 문을 열고 들어가면, 복도를 만나고 각 집의 현관문은 긴 복도를 따라 배치되어 서로의 집을 목격하지 않게 하였다.




ⓒ Kyung Roh


ⓒ Kyung Roh


ⓒ Kyung Roh


ⓒ Kyung Roh







SECTION




2nd FLOOR PLAN






Architects   SOSU ARCHITECTS

Location   Mokdong, Yangcheon-gu, Seoul, Republic of Korea 

Use   Neighborhood facility + multi family housing 

Site area   193.04m²

Built area   112.97m²

Total floor area   377.64m²

Floor   5F 

Structure   RC 

Architect   Mihee Kim, Seokhog Go, Esther Seo, Hyotaek Park 

Construction   3-square construction

Photograph   Kyung Roh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20년 8월호(Vol. 471)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August, 2020 issue of the magazine(Vol. 471).




'Architecture Project > Multi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Two-Close-Between  (0) 2020.11.25
SONG25  (0) 2020.09.30
PANORAMA HOUSE  (0) 2020.09.29
3/1 BUILDING  (0) 2020.09.29
House In Fontaínhas  (0) 2020.09.17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