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usub Song


Although the house sets itself apart morphologically from the old neighboring houses, I have considered the shapes of the nearby mountains and natural environment as the basic premises for the house. To get sufficient floor-to-ceiling height for the indoor space, I have made sure that people get less rain by turning the slant of the gable roof retained from the old design by 90 degrees and have created enough space before the porch where one can avoid rain by twisting the wooden-floor veranda space a little bit. This is to keep guests from crowding the porch of the house, which accommodates a lot of family events. As for the old house, which has a low ceiling height and problematic insulation etc., it is dark inside and people in the house are quite vulnerable to cold outside. While insulation matters, I have designed the house so that the south-facing building tucks wonderful sunlight inside and thereby keeps it bright and comfortable, enabling people to feel the look of the spaces that change from moment to moment wherever they are in the house. I have put not only master bedroom and living room, but also study, which is to be used together with living room to get more space for family event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house. Moreover, I have let sunlight into guest room and attic for visiting children or grandchildren by creating roof openings.


ⓒ Yousub Song


The guest room, which cannot but lie in the northwestern end of the house because of the form of the site. So, I have designed clerestory there to let sunlight in, through which sunlight comes not only into the guest room but also into the attic that sits above it. This small effort to secure a passage for light has achieved both the exclusive spatiality and practicality for the house by providing higher ceiling in some portion of the smaller guest room. The attic, which serves as a space for storing seldom used things, also serves as a space for the project owner’s grandchildren. By clambering up the attic latter, one may talk with people in the guest room downstairs through an opened window. It is also the place from which one can take a quick look at the view around the site. Were it not for the expansion of the elementary school building right in front of it, one could see faraway fields from here. Still, the good thing about the attic is that you can stay closer to the clear sky.


ⓒ Yousub Song


The guest room, which is right underneath the attic, is kept close to the porch,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rivacy of the project owner who dwells in master bedroom. And kitchen and living room are placed south to north so that wind may pass through them. By allowing exit from the utility room linked to the kitchen, I have designed a line of movement with an easy access to the backyard and jangdokdae, which also makes it easy to use the storage (boiler room) that can be accessed from outside. The outside storage, which abuts on the more spacious yard in the east, is easily accessed from the front yard as well and reflects the project owner’s intention to keep a kitchen garden.


ⓒ Yousub Song


Sinsajae. It means a house that is small but holds the family’s multigenerational memories. It should be quite rare for a grandson now in his old age to return to a small farm house built by his grandfather and build a new house on its site. It would be even rarer to the current generation, as many people these days grow in downtown apartments or villas. So, the act of building afresh on the old site cannot but be hugely significant. For buildings are products that herald the current era in the society and carry the livelihoods and thoughts of people who live in it.


ⓒ Yousub Song


申史齋: 신사재


주변의 오래된 주택과는 형태적으로 아주 다른 모습을 하고 있지만, 주변의 산세와 자연환경은 이 주택의 기본적인 전제조건으로 고려하였다. 내부 공간의 충분한 천정고를 확보하기 위해, 이전과 같은 박공형태의 지붕이지만, 그 경사의 방향을 90도 틀어서 집 안팎을 드나들 때, 비교적 비를 덜 맞게 하고, 툇마루의 공간을 살짝 비틀어, 비를 피할 수 있는 현관 앞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였다.
집안 행사가 많은데, 방문객들이 현관에서 비좁게 서성이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기존의 낡은 집은 층고도 낮고, 단열 등에 대한 문제도 있어 내부가 어둑어둑하고, 추위에도 취약한 상황이었다. 단열도 단열이지만, 남향의 좋은 햇살들을 내부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밝고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고, 시시각각 변하는 공간의 모습을 집안 어디서든 느낄 수 있게 계획했다. 안방과 거실은 물론, 집안 행사 때마다 공간을 확장하여 거실과 함께 사용하게 될 서재 역시 볕이 잘 드는 남측에 배치하고, 자녀들이나 손주들이 방문했을 때 사용할 손님방 그리고, 다락까지도 지붕의 트임을 통해 햇볕이 들게 하였다.


ⓒ Yousub Song


손님방의 경우, 대지 형태상 북서측에 위치할 수밖에 없었는데, 햇볕을 받아들이게 하기 위해, 고측창을 계획했고, 그 창을 통해, 손님방만이 아니라, 그 위에 위치한 다락방까지도 햇볕이 들게 된다. 빛이 들어오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이런 시도는 작은 손님방에 일부 높은 층고를 확보하게 함으로써, 이 주택만의 공간감과 실용성 모두를 이루었다. 다락은 자주 사용하지 않는 물건들을 보관할 공간이기도 하지만, 손녀손자들을 위한 공간이기도 하다. 천정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아래 손님방 사람들과 창문을 열고 바로 위아래에서 대화를 나눌 수도 있으며, 대지 주변의 풍경들을 살짝 내려다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바로 앞에 있는 초등학교가 증축하지만 않았다면, 멀리 있는 논밭까지 볼 수 있는 장소이기도 하지만, 맑은 하늘을 조금 더 가까이 볼 수 있다는 것에 위안을 삼는다.


ⓒ Yousub Song


다락 아래 위치한 손님방은 현관 가까이 배치하여, 안방에 거주하는 건축주와 서로 방해가 되지 않게 하였고, 주방과 거실은 맞바람이 지나갈 수 있도록 남북방향으로 배치했다, 주방과 연계된 다용도실은 바로 외부로 나갈 수 있게 함으로써, 뒷마당과 장독대 공간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동선계획을 했고, 이는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창고(보일러실)와도 그 이용이 용이하게 계획하였다. 외부창고는 조금 더 너른 동쪽의 마당공간에 바로 접해 있어서, 앞마당에서도 쉽게 접근할 수있으며, 텃밭을 가꾸시려는 건축주의 계획이 반영된 결과이기도 하다.


ⓒ Yousub Song


신사재는 작지만, 대대손손 집안의 기억들이 깃드는 집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할아버지가 지어주신 작은 시골집에 그 손자가 노년이 되어 돌아가 새로 집을 짓는 일, 그 자체가 아주 드문 경우일 것이다. 지금의 세대에게는 도심의 아파트 또는 빌라에서 자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더욱 드물게 될 것이다. 다시 그 땅 위에 새로 짓는다는 행위 자체에 큰 의미가 있지 않을 수 없다. 건축물은 그 자체가 그 사회의 현재를 알리는 산물이고, 그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모습과 생각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1st FLOOR PLAN






Architect   STUDIO GOTT

Location   Gamseong-ri, Geumnam-myeon, Sejong-si, Republic of Korea 

Program   Single Residence

Site area   717㎡ 

Building area   102.7㎡ 

Gross floor area   99.1㎡ 

Building scope   1F 

Height   6.2m 

Building to land ratio   14.32% 

Floor area ratio   13.82% 

Structur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Exterior finish   Brushed-granite 

Interior finish   Paint on gypsum board 

Design period   2017. 3 - 7 

Construction period   2017. 8 - 2018. 6 

Principle architect   Hyunil Oh, Namgyu Kim 

Project architect   Jaeyul Cha, Ilkwon Lee 

Design team   Studio GOTT 

Structural engineer   Teo structure 

Mechanical engineer   Jeongyeon Engineering 

Electrical engineer   Jeongyeon Engineering 

Construction   Hammer Sound (Dongsun Song) 

Photographer   Yousub Song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19년 3월호(Vol. 454)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Apr, 2019 issue of the magazine(Vol. 454).









'Architecture Project > Single 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M16 HOUSE  (0) 2019.05.30
NO FOOTPRINT HOUSE  (0) 2019.05.27
NOSTALGIA  (0) 2019.05.23
FIVE-STORY HOUSE  (0) 2019.05.22
TREEHOUSE  (0) 2019.05.15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