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useum is given a birth and breathes as a piece of the nature lives in it.”

Kim Jong-bok Art Museum in Daegu Catholic University is built to commemorate the artist Kim Jong-bok and her works. It opened with 100 pieces of donated Kim’s masterpieces and now is a great archive where history of art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from 1940’s to 2010’s is reserved. Also, the museum provides high level of art education to students and develops the regional culture.

The architectural structure of the museum on the original plan had a strong but smooth flow in its overall shape, implying the nature of the artist. A part of the exterior that was to be newly added, however, was cut off due to budgetary deficit, and therefore it now seems like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is being squeezed into the inner space. In other words, the museum is designed to be a distinguished architectural layer that slides into the existing building.



Since the museum is built to commemorate the artist Kim Jong-bok, the architect tried to use the image of mountain as Kim often did in her paintings and abstractly apply it into the shape of the area from the outer edge to the inner space. Furthermore, the architect attempted to combine the interior elements, such as the ceiling, the floor and the furniture, as one, while each piece has unique function as it is a separate piece. The gigantic inner space that is 50m in height keeps balance between spatial durability and voidness and allows the museum complex to be brought in; this method creates density of space in the building and distinguishes the museum from others.



Also, the abstract pattern that is taken from Kim’s unique brush stroke is clothed onto surface of the ceiling of the cafeteria/seminar hall area and the sub-entrance area in the museum. This is another element of the museum that distinguishes it from others and increases awareness.

The building was originally built as a student union building and has a huge window that is improper for an art facility. The architect, however, accepted and renovated this window to draw the sunlight, which is a great element of the nature, and added dynamicity into the silent inner space; the sunlight coming into the reception hall is reflected on the white marble sculpture and stays in the space as an element that dynamically changes over time. The architect also put a wood screen on the inner wall to protect oil paintings from the sunlight coming through the window that is opened inward, while the window yet delivers the view of the garden inside.



‘자연이 압축되어 파편된 흔적과 같이 내연의 미술관을 만들다.’

대구가톨릭대학교 김종복미술관은 김종복 화백의 기증된 100점의 소장품을 기반으로 한국 미술사적 측면에서는 물론 대구, 경북지역의 1940년대에서 2010년대까지 미술을 연구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의 역할과 후학들을 위한 예술 교육과 수준 높은 지역 문화 창달을 위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하며 작가를 기리고자 만들어진 미술관이다. 처음 기획에서 강하나 단순하게 단면의 변화로 화가의 작품특성이 반영되었던 건축적 구성은 예산의 한계이유로 새롭게 디자인되었던 외관이 잘려나가면서 외부에 있던 건축적 스크린이 마치 스퀴즈되어 찌그러져 내부로 압축되어 들어간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 이는 건축안에 또 하나의 건축의 켜가 기존 건물에 미술관을 박스가 관입하는 방식으로 그 설계가 시작되었다.


김종복 화백의 기념비적인 성격이 큰 만큼 김종복 화백의 그림의 주테마인 산을 미술관 외관에서부터 내부 깊은 공간까지 끌어들이는 건축적 추상요소로 사용하여다. 내부공간의 요소인 천장과 바닥 그리고 미술관의 가구를 한 개의 통합 형태를 만들고 이는 곧 찢어져 파편화된 거대조각으로 그 기능을 담는 또 하나의 음각덩어리들의 변용을 시도하였다. 50m에 이르는 하나의 변화되는 거대조각 만들어내는 공간은 공간의 지속성과 트임의 균형을 구축하면서 건축물안에 건축물의 인입하는 접근법을 충분히 수용하는 요소로 김종복 미술관만의 독창성과 공간의 밀도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김종복 화백의 그림의 세부 붓터치 요소를 축출하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추상패턴을 미술관 내피인 미술관의 공공공간인 카페테리아겸 세미나홀의 천장과 부출입구 도입부에 적용하므로써 김종복 미술관만의 독창성과 인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학생회관으로 설계된 기존건물의 특성상 미술관시설에는 적합하지 않은 기존 대형창을 정제된 수용으로 미술관 내부까지 깊숙이 외부 자연의 요소를 끌어들여 정적인 미술관에 자연과 빛의 동적인 변화가 함께하는 미술관을 꾀하였다. 리셉션 홀에 인입되는 자연광은 시간대별로 다이나믹하게 관입된 하얀 대리석 거대조각에 투영되어 정적인 미술관에 변화하는 빛이 있는 공간의 요소가 되고, 전시관 내부로 열려진 창은 내부에 벽이 변용된 유화작품의 보호장치인 대형 조절 우드스크린을 계획함으로써 때로는 활짝 열려진 외부 마당이 전시관내부의 작품으로 들어오는 차경을 갤러리 내부에 들이고, 미술관안에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빛의 공간요소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