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ngkwan Kim
The village, which in the past used to be famous for rice farming, is a mix of old farm houses and tenements that can earn rental income. Multi-unit housing was also recommended in order to help the landlord cope with old age, but the client chose a detached house instead. As the architect described the property as a lifelong dream, the purpose of the design was to create a practical, clean and solid house.
ⓒ Yongkwan Kim
The men’s and women’s living quarters on the property are over 100 years old and are typical of the middle class. In order to move between the men’s and women’s quarters you pass through a gate and a courtyard that separates the two. I tried to maintain the original structure of the property, as remembered by them, which has created a neutral house.
ⓒ Yongkwan Kim
It occurred to me that it would be advantageous to allow room for expansion for the next future generations. Therefore, the location of the floor height or window was considered so that room could be added inside when the generation was combined. In addition, the front warehouse was also planned to allow rental business by expanding the upper section. This is why the front part was constructed as a flat-roof not only for the purpose of offsetting the current central tendency but also for extension. The cantilever was also planned as reinforced concrete considering the circulation of the second floor when expanding the cantilever.
ⓒ Yongkwan Kim
The architect had a lot of concerns about the finishings but I wanted to choose materials that are both durable and easily maintainable. The client of the building also wanted materials that are commonly used today, even if they were materials not used in the original construction. This way the property could be pass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and be seen as more modern. An example of this is the choice of long-brick instead of brick.
ⓒ Yongkwan Kim
과거와 미래가 담긴 중정형 주거공간, 평택주택
평택의 이 마을은 주거지역으로 계획되어 향토의 명맥은 유지하고 있지만, 전통적인 농촌의 모습은 사라지고 시대에 맞춰 변화하는 곳이다. 새로운 주택이 들어서기 전, 대지에는 100년이 넘은 사랑채와 안채가 담장으로 둘러싸인 ‘ㅁ자’ 형태의 집이 존재했다. 과거의 집은 사랑채 사이에 있는 대문을 통과하여 안마당(중정)을 거쳐야만 안채에 도달하는 동선을 가지는데, 이는 새롭게 지어진 주택에도 반영되어 노령의 건축주가 평생을 살아온 익숙한 공간으로 만들어졌다.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는 중정형 주택은 신도시에 들어서는 타 주택과는 차별점을 지니고 있다.
ⓒ Yongkwan Kim
대지는 정북 방향에 반듯하지 않은 경계가 있는 4개의 인접 대지와 밀접한 영향을 가진다. 이 대지 라인에 순응하며 배치된 주택은 중정으로 향하는 내부지향적 성향을 띤다. 사랑채에 해당하는 창고시설은 직선으로 놓여져 있고, 농사 도구를 보관할 기계 창고, 식품을 쌓아 놓을 저장창고 등 용도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됐다. 주택의 규모에 비해 창고의 규모가 큰데, 이것은 더는 농사를 짓지는 않지만 농사의 생태주기에 맞춰 평생을 살아 온 건축주의 심리적 안정을 위하여 필요한 요소였다. 또한, 창고의 상부 증축이 가능한데, 추후 임대 공간으로 쓰이도록 고려된 것이다. 거실 상단을 증축할 수 있도록 1층 거실의 층고나 창의 위치가 고려되어 있다. 외부 캔틸레버 역시 증축이 되었을 때 2층의 순환동선을 고려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지어졌다.
ⓒ Yongkwan Kim
바닥의 완만한 슬로프는 고령의 건축주를 배려한 것이며, 상부에는 캔틸레버 지붕이 설치되어 있어 눈이나 비를 맞지 않고도 공간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저장창고와 이어지는 동선에는 수돗가와 부뚜막이 있어 이전에 건축물에서 느낄 수 있었던 마당의 행위와 경험들은 현재 주거공간에도 이어진다. 내구성과 유지성능이 좋은 롱브릭으로 마감되어 심플하면서 아늑한 주거공간이 만들어졌다.
ⓒ Yongkwan Kim
ⓒ Yongkwan Kim
ⓒ Yongkwan Kim
DIAGRAM
SECTION
1st FLOOR PLAN
Architects SoWall Architecture & Design
Location Makgok-gil, Pyeongtaek-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Program House
Site area 321.45m²
Building area 143.04m²
Gross floor area 178.21m²
Building Scope 2F
Building to land ratio 44.5%
Floor area ratio 55.44%
Design period 2018. 9 - 2019. 7
Construction period 2019. 7 - 12
Completion 2019. 12
Principal architect Sunyong Choi
Project architect Sunyong Choi
Structural engineer SDM Structural Engineering
Mechanical engineer Codam Technical Group
Electrical engineer Codam Technical Group
Construction (ChorokSun) Bae Yongeun
Client Jungmin Lee
Photographer Yongkwan Kim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20년 10월호(Vol. 473)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October, 2020 issue of the magazine(Vol. 473).
'Architecture Project > Single 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oating Nest (0) | 2020.12.25 |
---|---|
TORTO HOUSE (0) | 2020.12.08 |
House G (0) | 2020.11.27 |
Atelier of Hakushima (0) | 2020.11.26 |
BDA CASA GLOMA (0) | 2020.11.20 |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