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Yoon Joonhwan




Gwaneum-ri is a mountain village in Gangneung, a small town in the direction of Daegwallyeong, and the village was named Gwaneum-ri because Gwaneum Bodhisattva appeared a long time ago. There is still a five-storied stone pagoda at a Buddhist temple site in Gwaneum-ri, which is vulnerable to fire due to the dry wind blowing from the Daegwallyeong to the East Sea under the influence of climate in the Yeongdong (east of Daegwallyeong) area. The forest fire that occurred in Eoheul-ri around the Daegwallyeong in May 2017 spread along with the spring wind from the west to Seongsan-myeon and Hongje-dong at the downtown of Gangneung, damaging many houses and forests. Amongst them, a house in Gwaneum-ri was also damaged that the couple who were living there, their daughter who were recovering after childbirth, and their granddaughter became deprived of their shelter. On this heap of ashes, we had to build a new house as if to plant an apple tree of hope.


When we first visited the site, we could scarcely tell the remnants of the original house except a little trace of ashes and the photograph of the lost little wooden house. The site is located at the left of the road that connects Gwaneum-ri and Wichon-ri, and south-oriented at the hillside so as to provide a view towards the far southern landscape. On the other hand, it is surrounded by a steep mountain to the northwest so that we could guess the original house had the best orientation.




ⓒ Yoon Joonhwan




The lost house was originally located at the center with much area of the northern triangular space left empty so as to have a narrower yard than expected. To overcome this drawback, we planned to utilize the rear triangular space properly for the newly built house, separating the trapezoidal mass into two spaces: one for the couple and the other for guests, around the central courtyard. The triangular in-between space was designed as a space of sharing and hope with an apple tree and the level difference utilized.


All approaches to the country house for the old couple were designed as ramps for easy access, while the right-side mass to accommodate guests connects with the central garden. The roof has a sloped form towards the central garden to make a natural flow from the left-side high hill, while the right-side wall of the guest room has a minimal window that blocks the noise from the road and provides a private space.


The living room has a corner window that provides the view towards the southeastern landscape, and the vestibule serves as a separator between the kitchen and the living room. The central garden was designed to satisfy the needs of the couple who like to cook and grow flowers, so that they can enjoy cooking with a view to the garden. The bedroom was placed at the back of the site to block the noise from the road, with the toilet and the dress room made in a series. Stairs were put at the dress room through which one can go upstairs to the loft. The guest room, located along the roadside and approached from the vestibule through the small central garden, is at a little lower level than the couple’s room, and its mass was also designed to have a lower height considering the flow of landscape.




ⓒ Yoon Joonhwan




관음리 주택


관음리는 강릉시내에서 대관령 방향에 있는 작은 산골마을로, 아주 오래 전에 관음보살이 나타났다고 해서 관음리라고 마을 명칭이 지어졌다고 한다. 지금도 관음리의 절터에는 오층석탑이 남아있다. 이곳은 봄이 되면 영동지역의 기후적 영향으로 인해 건조한 바람이 대관령에서 동해바다로 불어 화재에 취약한 지역이다.


2017년 5월 대관령 쪽 어흘리에서 발화한 산불은 봄에 부는 서풍을 타고 성산면 지역과 강릉시내의 홍제동 지역까지 번져서 많은 가옥과 산림의 피해를 입혔다. 그 중에서 관음리 주택은 산불로 인한 화재로 인하여 주인 부부와 산후조리를 위해 친정에 와있던 딸과 손녀의 보금자리를 빼앗아갔고 다시 잿더미 위에서 희망의 사과나무를 심는 작업을 하게 되었다.


해당 대지를 처음 방문하였을 때 이미 화재로 소실된 주택은 정리가 되어 있었고 기존 주택의 흔적은 약간의 재와 소실된 작은 목조주택의 사진 뿐이었다. 대지는 관음리에서 위촌리로 가는 도로의 왼쪽에 위치하고 동남향의 부지로 언덕의 중간쯤에 있어서 남쪽의 원경을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 있다. 반면에 서북으로는 가파른 산으로 둘러 쌓여있어서 건축물의 배치는 소실된 주택의 방향이 가장 좋은 방향이었다.




ⓒ Yoon Joonhwan




소실된 주택은 북측의 삼각형 대지의 많은 면적을 비워두고 중앙에 위치해 있어서 마당이 생각보다 협소했었던 것이 단점으로 보여, 신축되는 주택은 후면부의 삼각형 땅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안으로 계획했다. 그리고 사다리꼴의 매스에서 두 개의 매스로 분리해, 중정을 중심으로 부부의 공간과 손님의 공간을 나누었다. 그 사이의 삼각형의 공간에 단차를 만들었고, 사과나무 한그루로 공유와 희망의 공간 상징을 심었다.


노년을 보낼 전원주택이기에 진입하는 부분 모두를 경사로로 만들어 접근성을 고려하였다. 거실과 주방이 있는 좌측매스와 손님이 머무는 우측매스는 중앙의 정원을 통해 연결된다. 지붕의 형태는 중앙정원을 향한 경사로 이루어져 좌측의 높은 언덕에서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흐르게 만들고 손님방의 우측 벽은 최소한의 창을 두어 도로에서 들려오는 소음을 방지하고 개인적인 공간을 만드는 역할을 하도록 디자인하였다.


거실은 남동 측의 전경을 관망할 수 있도록 창을 두 면에 걸쳐 이어 만들었고 현관이 주방과 거실을 가르는 역할을 한다. 음식 만들기와 화초 가꾸기를 좋아하는 부부를 위해 중앙의 정원이 필요하였고, 그 정원을 바라보면서 음식을 만드는 작업을 즐기도록 의도하였다. 침실은 도로의 소음이 없는 대지 후면에 배치하고, 드레스룸을 통해서 다락으로 올라가는 계단을 만들었다. 손님방은 도로변에 위치하고 중앙의 작은 정원을 통하여 현관으로 진입하는데, 부부의 공간보다는 조금 낮게 위치하고 건물의 매스도 낮게 만들어 경관적 흐름을 고려하였다.











HISTORY


SECTION


1st FLOOR PLAN








Architects   Architecture Design Studio YEIN

Location   Gwaneum-ri, Seongsan-myeon, Gangneung-si, Gangwon-do, Republic of Korea 

Use   Residential 

Site area   406㎡

Built area   99.41㎡ 

Total floor area   99.41㎡ 

Floor   1F 

Structure   Wooden structure 

Exterior finish   Stuco 

Interior finish   Wallpaper 

Lead architect   Choi Yesun 

Design team   Lee Myungseon, Kim Jungmi, Park Hanhee 

Construction   Human&Space Lee Kiok 

Photographer   Yoon Joonhwan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20년 4월호(Vol. 467)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April, 2020 issue of the magazine(Vol. 467).




'Architecture Project > Single 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GYO-DONG SINGLE HOUSE REMODELING  (0) 2020.07.02
SWISS HOUSE XXXV  (0) 2020.07.02
PANGYO-RI HOUSE  (0) 2020.06.29
SARE HOUSE AND CARACALI HOUSE  (0) 2020.06.29
HAE-MUT-JE  (0) 2020.06.26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