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h kyung


The site is in an island called Doslando that you should cross Dolsan Bridge or Geobukseon Bridge in Yeosu, Jeollanam-do Province to visit. After crossing these bridges, while walking along Doslando’s coastal road, you will find small roadside villages plainly telling about natives’ daily affairs and works. Then a 20-minute walk along the same road will guide you to the project building with a low profile. 


ⓒ Roh kyung


What the client asked at the first meeting was a house with minimal functions needed to run a cafe with a botanical garden. After a site visit, two main objectives were established. The first was not to make the building stand against the topography of Cheonwangsan. Dolsando is experienc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every year, and driven by the boom of rural lodging business, accommodations and commercial facilities have sprung up everywhere along costal roads. These facilities are showing off themselves but failing in making harmony. 


ⓒ Roh kyung


Seeing them made the architect wonder how the original topography of the area looked like, and as he was about to undertake a similar architectural act, he tried to set an ideal direction. In the end, he decided to minimize the scope of architectural act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works). The second was to select harmless materials not to damage the beautiful coastal environment of Dolsando. Only claddings that can blend in with their surroundings are selected so that the building can keep a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its neighborhood even after a long time. As there is a level difference within the site, the building seems to be buried underground when seen from a higher place. 


ⓒ Roh kyung


But a wide-open front courtyard appearing at the bottom of the stairs and a scenery seen through a panorama window at the storefront look like a piece of watercolor painting and give a refreshing experience. Installed between a buried retaining wall and the cafe, D.A allows to open wide all the windows on fine days and to expand the cafe space as much as the cafe can have a semi-outdoor space. Also, this provides some benefits as this can stop moisture soaked from the ground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cafe. 


ⓒ Roh kyung


For this Yeosu project, the architect put emphasis on continuity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e flow of people enjoying a cup of coffee inside the building is seamlessly led to outside along the scenery shown through the windows whereas people outside the building, enjoying their coffee with beautiful views are guided to feel as if they were inside the building. To achieve these, providing an uninterrupted flow, controlling people’s line of sight and making full use of the outdoor environment which is uncommon in downtown are proposed as design concepts. When it comes to the interior, the cafe shows a simple design. A long mass with a size of 10x30m, the cafe area, a botanical garden(glass house) and an outdoor space behind the garden are arranged to make a layered composition, and their boundaries are marked with different materials. 


ⓒ Roh kyung


For example, the cafe’s interior finish material is concrete whereas, from the point where the garden begins, wood is applied as a cladding. The outdoor space behind the garden is finished with the same material, but its roof is uncovered to open a view to outside from inside with an aim to present an outdoor-like atmosphere. To emphasize the implied directional nature, pendent lights are installed to make a long line along the long axis to attract people’s attention. As this kind of space can look rather simple, various objects like furniture, artworks and plants are added to relieve the blunt image of the space.


ⓒ Roh kyung


금봉리 주택

금봉리 주택은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돌산대교 또는 거북선대교와 연결된 돌산도라는 섬 안에 자리하고 있다. 돌산도의 해안도로를 따라가다 보면 도로변엔 원주민들의 생활과 업이 그대로 묻어 있는 작은 마을들이 있으며, 그 길을 따라 20여분 달리다 보면 나지막이 자리한 건축물이 보인다. 클라이언트의 요구 조건은 운영을 위한 최소한의 주택을 겸한 식물원이 있는 카페였다. 현장 방문 후 우리는 크게 두 가지의 방향을 결정했다. 첫째, 천왕산의 지형에 반하지 않는 건축물이었다. 돌산도는 해마다 관광객이 늘어 해안 도로를 따라 숙박시설, 상업시설 등이 우후죽순처럼 들어차 있었다. 대부분의 숙박, 상업시설은 스스로를 뽐내고 있었지만 조화롭지 못하였다. 우리는 이 곳의 원래 지형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무엇이 바람직한 방향인지 고민한 결과 최소한의 건축 행위(건축, 토목)를 하고자 하였다. 


ⓒ Roh kyung


두번째로 돌산도의 아름다운 해안을 해치지 않는 재료의 선택이었다. 주변 환경과 어울리는 마감 재료를 결정하여 시간이 지난 후에도 주변 환경과 조화로울 수 있는 건축물로 남기를 바랐다. 대지의 고저차가 있었기 때문에 높은 레벨에서 건축물을 바라보면 지하층에 묻힌 것 같지만 계단을 따라 내려가면 너른 앞마당이 펼쳐지고 카페의 전면의 파노라마 창을 통해 보이는 풍경은 한 폭의 수채화와 같아 가슴을 트이게 해준다. 묻힌 옹벽과 카페 공간 사이에 D.A를 계획해서 날이 좋은 날엔 창호를 시원하게 열어 공간을 확장하고 반 외부적인 공간을 가능하게 하였고, 더불어 땅에서 스며드는 습기를 카페 내부까지 들이지 않고자 하였다. 설계를 진행하면서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공간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연속성이었다. 내부에서 커피를 마시던 사람의 동선을 창 밖에 보이는 풍경을 따라 자연스럽게 바깥으로 유도하고, 외부에서 경치를 보며 커피를 즐기던 사람에게는 마치 건물 안에 있는 듯한 느낌을 주고자 했다. 


ⓒ Roh kyung


그래서 중요하게 생각한 끊기지 않는 동선과 사람들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성, 그리고 도심지에서 보기 힘든 외부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을 설계 컨셉으로 생각했다. 카페에 들어서면 내부 공간은 단순하다. 10 x 30m의 길다란 매스에 카페, 식물원(유리온실)과 그 뒤로 외부공간을 레이어 별로 나열하고 그 공간의 경계를 재료로 분리했다. 예를 들면 카페의 내부공간의 마감재는 콘크리트인데, 카페의 경계에서 식물원이 시작되는 공간부터는 목재를 마감재로 사용했다. 그 뒤 외부공간은 식물원과 같은 마감재를 사용했지만 지붕면을 오픈하여 실내이지만 외부공간을 보이게 하여 외부공간에 있는 듯한 느낌을 극대화했다. 그리고 방향성을 더 강조하기 위해 펜던트 조명을 장방향으로 길게 설치하여 시선이 집중되도록 했다. 이러한 공간은 다소 단순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그 안에 가구, 미술작품, 식물 등의 소품을 채워 넣어 경직되게 느껴지는 공간을 좀 더 유연하게 만들었다.


SPACE PROGRAM


MASS PROCESS


SECTION A


SECTION B


SECTION C


SECTION DETAIL


B1 FLOOR PLAN


1st FLOOR PLAN




Architect Architects Pildong-2ga

Location 1411, Dolsan-ro, Dolsan-eup, Yeosu-si, Jeollanam-do, Republic of Korea 

Program Detached House, Neighborhood Facility 

Site area 1,220㎡

Building area 156㎡

Gross floor area 192㎡

Building scope B1, 1F 

Height 6m 

Building to land ratio 15.62% 

Floor area ratio 19.22%

Design period 2016.12 - 2017.4 

Construction period 2017.4 - 9 

Principal architect Cho Kyungbin

Photographer Roh kyung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18년 1월호(Vol. 440)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January, 2018 issue of the magazine (Vol. 440)




'Architecture Project > Reta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OMONAN  (0) 2018.03.23
Cafe & Bakery Refubishment  (0) 2018.03.21
The Gatehouse  (0) 2018.01.11
Stefan cel Mare Building  (0) 2018.01.04
STAR25 BUILDING  (0) 2017.11.07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