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osook Chin

 

The house is located in a village built by long-time acquaintances who shared the will to differentiate it from general rural housing complexes. Villagers set their own rules, and there was an internal examination process for the height of the building, the area and location of the window, the facade material, the height and composition of the fence, the landscaping and the green area. There were strict conditions in which construction could only be carried out only after passing these rules. The planned site was located in a place where the terrain of Gyeryongsan Mountain range from the south and complex ridges intersect, so there were severe restrictions on the height of the building in order to preserve the flow.

 

The site was wedge-shaped toward the south. The building had to be placed on the north side where a larger space could be used, but due to the 3.6m retaining wall on the north of the site, the first floor did not receive a lot of light, and a parking lot, a kitchen, and a utility room were planned there. To the east is the main road of the village, so there were great concerns about privacy. Fortunately, the ridge on the west side rises slightly and leads to a steep slope, so nature could be viewed without any particular obstruction. Hence, the building was designed in the shape of a letter “L” with its back facing the road to the east, and a concave space was created by linking it with the ridge on the opposite side. This made it possible to have a small yard like a U-shaped traditional house, and to arrange living rooms connected to the yard one after another. The client, who valued family unity and harmony, wished to spend most of their time together in the living room on the first floor. Accordingly, as soon as one enters the front door, their attention is naturally drawn to the living room, and we use voids and curves to fulfill such roles. The stairwell was placed in the corner to hinder moving on to the second floor, which is a relatively private space. By making the corridor on the second floor face the curved void space, the would-be uninteresting way to the room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was offset by a chance to look at the panoramic view. This makes the space feel vibrant from various viewpoints not only horizontally but also vertically, and enables communication in each space.

 

Despite being such a small house, many contexts overlap and intersect, and the various layers and corresponding flows create virtual walls. This wall serves as a barrier for privacy protection or to hide things such as various equipment like solar panels, or a porous filter for proper accommodation and distance in preparation for strong sunlight or outdoor wind. In addition, it becomes a light wall floating in the air to match any direction, such as vertical voids and horizontal movement lines. There is also a wall that follows the flow of the elevation as a decorative element to naturally harmonize with the ridge of the mountain that flows like waves in the distance. We call these 'atmospheric walls'. Atmospheric Wall is a house where the architect's inadvertently drawn lines are not simply constructed, but a house in which a reaction with cause and reason is realized. In addition, it is an everyday art that has been adapted or transformed in response to various constraints and has become so naturally. In this space, which flows into a natural atmosphere composed of walls created by the coordination of forces, we hope for the client to spend a comfortable life with his family.

 

 

 

 

 

ⓒHyosook Chin

 

앳모스페릭 월

 

주택은 일반적인 전원주택 단지와 차별화를 두겠다는 의지로 오랜 지인들이 의기투합하여 만든 마을에 있다. 마을 구성원들은 자체 규약을 두어 건축물의 높이를 비롯하여 창의 면적과 위치, 입면 재료, 담장의 높이와 구성, 조경 및 녹지면적에 대해 내부 심사 과정이 있고, 이를 통과해야만 건축을 할 수 있는 까다로운 조건이 있었다. 특히 계획 대지는 남쪽으로부터 계룡산의 산세가 먼 곳에서부터 이어지며 복잡한 능선이 교차하는 곳에 있어, 그 흐름을 존치하고자 건축물의 높이에 대한 제약이 심했다.

 

땅의 형상은 남측 방향의 쐐기형이었다. 넓은 공간을 쓸 수 있는 북측으로 건축물 배치를 해야만 했는데, 북측 대지의 3.6m 옹벽이 자리하고 있는 관계로 1층 북측의 채광이 좋지 않았고, 주차장과 주방 및 다용도실을 배치했다. 동쪽에는 마을의 주도로가 있어, 프라이버시 방해에 대한 우려가 컸다. 다행히 서측은 능선이 살짝 솟아 올라왔다가 급경사로 이어져 있어 특별한 방해 없이 자연 조망이 가능했기에 그렇게 동쪽의 도로 쪽을 등진 ㄱ자 형태로 건축물을 배치, 반대편 능선과 연계하여 오목한 공간을 만들었다. 이는 ㄷ자 전통가옥처럼 작은 마당을 둘 수 있게 되어, 그 마당에 연계되는 거실을 연이어 배치할 수 있었다. 가족의 단합과 화합을 중요하게 생각했던 클라이언트는 그들 대부분의 시간을 1층 거실에서 함께 보내길 희망했다. 그러한 이유로 현관에 들어서자마자 자연스럽게 거실로 시선을 유도했고 그러한 역할로서 보이드와 곡선을 활용했다. 계단실을 구석에 배치한 것은 상대적으로 사적 공간인 2층으로의 이동을 어렵게 하기 위해서였는데, 2층 복도를 곡선 보이드 공간에 면하게 하여 그 반대편에 위치한 방까지 가는 길이 길어짐으로 인한 지루함을 창 너머의 파노라믹 뷰를 바라보며 상쇄하게 했다. 이는 수평적인 시선 뿐만 아니라 수직적으로도 다양한 시점에서 공간을 다채롭게 느끼게 하고, 각 공간에서 소통이 가능하게 한다.

 

이렇듯 작은 주택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콘텍스트들이 중첩되고 교차하며 다양한 레이어와 그것에 대응되는 흐름은 가상의 벽들을 만들어낸다. 이 벽은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서나 태양광 집열판 등 각종 설비기기와 같이 무언가를 감추기 위한 장벽이 되기도 하고, 강한 태양 빛이나 실외기 바람의 기능성에 대비하여 적절한 수용과 거리두기를 위한 다공성 필터가 되기도 한다. 또한 수직적 보이드와 수평적 동선 등 어느 방향성에 맞추기 위해 공중에 떠 있는 가벼운 벽이 되기도 한다. 특히 멀리 파도처럼 넘실거리며 이어져 오는 산세의 능선에 자연스럽게 조화되기 위한 장식적 요소로서 입면의 흐름을 따르는 벽도 있겠다. 우리는 이런 벽을 분위기 있는 벽(앳모스페릭 월)이라 부른다. 앳모스페릭 월은 무심코 그린 건축가의 선이 단순히 구축된 것이 아니라 원인과 이유가 있는 반응이 현실화된 집이다. 또한 각종 제약조건에 대응하며 적응 또는 변형되어 자연스럽게 그렇게 되어버린 일상의 예술이다. 이렇듯 힘의 조율이 만들어낸 벽으로 구성된 자연스러운 분위기로 흐르는 이 공간에 클라이언트가 가족들과 편안한 일생을 보내길 빈다.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Hyosook Chin
DIAGRAM
1st FLOOR PLAN
2nd FLOOR PLAN

 

 

Location Daegyo-ri, Janggun-myeon, Sejong-si, Republic of Korea
Program Housing
Site area 746.00㎡
Building area 133.59㎡
Gross floor area 192.19㎡
Building scope 2F
Building to land ratio 17.91%
Floor area ratio 25.76%
Design period 2017. 11 - 2018. 9
Construction period 2018. 9 - 2021. 2
Completion 2021. 2
Principal architect / Project architect (CIID) Ikhyeon Ju / (Urban Terrains Lab) Yehre Suh
Structural engineer SDM Structural Engineering
Mechanical engineer / Electrical engineer Suyang Engineering
Construction Seunghoon Han, Etern Construction
Photographer Hyosook Chin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22년 9월호(Vol. 496)에 게재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September, 2022 recent projects of the magazine(Vol. 496).

 

September 2022 : vol. 496

Contents : RECORDS "SHINGIL MIDDLE SCHOOL" TO PROPOSE A NEW SCHOOL SPACE STRUCTURE THAT WON THE 40TH SEOUL ARCHITECTURE AWARDS 새로운 학교 공간 구조를 제안한 ‘신길중학교’ 제40회 서울시 건축상 대상 수상 : NEWS / COMPETITION

anc.masilwide.com

 




'Architecture Project > Single 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gge  (0) 2023.01.03
A-Dam  (0) 2022.12.30
Gasan 60-9  (0) 2022.12.22
LITTLE CAPTAIN HOUSE  (0) 2022.11.28
DOT HOUSE  (0) 2022.11.24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