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yungsub Shin

 

 

Old Buildings of Urban Regeneration, Renovation and Blind Spots It is a work that has been contemplated and challenged for a long time for a fundamental rebirth rather than a temporary measure for ‘old buildings in blind spots’ that have been left in various places in the city without being able to change and solve due to the current building laws and parking lot laws.

 

The new programs – Library with a single-family house- are accommodated under conditions such as the land sitting at the end narrow alley, a 30-years-old cement brick building, the ground under subsidence, the land that cannot be built newly, and adjacent buildings on all sides.

 

Concrete Tectonic
Structural consideration were important in the plan to renew the existing building, which had begun to subside. For this, ‘Active application and variation of material properties of the concrete’ is applied consistently throughout the work to reveal the architectural theme. Concrete is not only a constructive solution and logic for foundation and structures, but also constitutes floors and finishes in texture, and interior spaces, and furniture. The project ‘Concrete Library’ can be represented as ‘Concrete Tectonic’.

 

The new concrete reconstructs an existing building which is 30 years old by enclosing it from the foundation. In other words, the ‘old brick masonry wall’ serves as formworks for the ‘new concrete wall’. The thickness of the physical combined wall(500mm) that creates a deep volume and shadow is the thickness of the previous time of 30 years. On the other hand, as if different times face each other, the ‘old brick wall’ and ‘new concrete wall’, which exist with a gap, form a new space such as a buffer and a terrace. The exterior of the old wall was painted red so that the old time and the new time could be distinguished and recognized.

 

The most important meaning of the ‘Concrete Library’ renovation project is to approach the ‘old cement brick building’ commonly produced in the 60-80’s with a new perspective and method. Deciding on the direction of the permanent ‘concrete-wet method’ rather than the ‘dry method (steel frame reinforcement + exterior replacement)’ of ‘minimum access’, which is usually applied to small buildings, it was planned to be the structure, exterior, spaces, material, texture, and story of the concrete itself. Text by: AGIT STUDIO

 

 

 

ⓒKyungsub Shin

 

콘크리트 도서관

 

도시재생, 리노베이션, 사각지대 노후건축물

콘크리트 도서관은 1960~80년대 가장 보편적인 도시주택으로 지어진 노후화된 시멘트 조적 건물을 리노베이션한 프로젝트이다. 30년 연식의 기존건물은 부실한 기초에 폐기물 섞인 흙바닥 위에 앉아 있었다. 당시 ‘빠른 주택공급’을 목표로 지어졌던 주택들의 단면을 현장에서 마주한 것은 다소 당황스러운 일이기도 하였다. 해당 부지의 결정적인 조건은 신축이 불가하다는 것이었고, 이는 지반 침하가 진행 중인 노후 건축물임에도 함부로 철거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주차장 법 등 각종 현행 법에 준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실상 대지는 맹지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30년 연식의 불안전한 기존 건축물을 끌어안은 채로, 영속적이고 지속가능한 새로운 건축물을 만들어야 하는 것이 ‘콘크리트 도서관’의 큰 설계 방향이 되었다.

 

Concrete Tectonic : 구축개념

‘Concrete 의 적극적 적용과 물성의 변주’
기존 건축물이 취약한 상태였기 때문에 주구조 역할을 하고 있는 벽돌을 철거하면서 공사하는 것에 상당한 위험이 따랐다. 이런 이유에서 근본적으로 구조를 포함한 기존 건물을 어떻게 해석하고 설계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이 우선시 되었다. 이런 고민 끝에 기존 구조체를, 신설 구조체를 만들기 위한 바탕이자 벽체 폼으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다시 말하면, 기존 건물이 곧 새로운 건물을 위한 거푸집이 되는 것이다.

‘콘크리트 도서관’의 콘크리트 벽은 옛 벽과 결합하여 500mm 이상의 두께로 실현된다. 이 합벽의 두께가 지난 30년 세월의 시간을 함축하며, 내부 공간의 깊이를 만들어낸다. 또 콘크리트 벽은 옛 벽과 구분되게 세워져 테라스 같은 새로운 공간들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 경우 옛 벽과 신설 벽의 관계가 정의되는데, 옛 시간과 새로운 시간이 구분되어 인지될 수 있도록 옛 벽체의 외부는 붉은색으로 칠해졌다. 이렇게 구조적 해결에 따른 방식으로 새로운 건축물의 내외부가 형성되고 정의된다. 그 역할을 모두 콘크리트가 하고 있다.

 

도서관 집

1층에는 건축물의 중심이 되는 도서관과 건축주가 운영하는 교습소가 위치한다. 2층은 건축주 부부의 주택이다. 프로젝트의 주요 사안이었던 ‘책과 사색하는 공간’은 주택에 속해 사적인 영역이 되거나 교습소에 부속되어 독서실처럼 될 수도 있지만, 좀 더 적극적으로 공적 역할을 하며 중심 장소이자 공간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건축적으로도, 프로그램적으로도 좋은 힘을 가지는 방향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학생들을 가르치며 문학과 함께 살아왔고, 앞으로의 삶에서 이 부분들을 어떻게 공유하고 즐기며 살아갈 수 있을까에 대한 건축주의 오랜 생각이 있었고, 그 꿈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 서로 이해할 수 있도록 대화해 나가는 과정이 이어졌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건축물의 주된 인상은 조형적 입면이나 비례에 있기보다, 좁고 긴 골목을 다다랐을 때 마주하게 되는 마당과 도서관에 있다. 콘크리트 벽체로 정리된 1층 도서관에서는, 비워낸 마당과 담장까지 확장된 공간을 경험하게 된다. 반면, 2층 주택은 큰 창을 통해 개방감을 가지되, 기존 골조를 활용한 테라스 영역을 가지고 있어 인접한 주변 건물들로부터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건축적 요소와 장치들은 작은 부지라는 조건에서부터 고민되어 해결되어야 했다. 새 건축물의 내외부는 콘크리트 구체를 도구로 하여 집요하게 비워내지는 과정을 통해 탄생되었다.
글 : 아지트스튜디오 건축사사무소

 

 

 

 

ⓒKyungsub Shin
ⓒKyungsub Shin
ⓒKyungsub Shin
ⓒKyungsub Shin
ⓒKyungsub Shin
ⓒKyungsub Shin
ⓒKyungsub Shin
ⓒKyungsub Shin
ⓒKyungsub Shin
ⓒKyungsub Shin
ⓒKyungsub Shin
ⓒKyungsub Shin
ⓒKyungsub Shin
ⓒKyungsub Shin
ⓒKyungsub Shin
ⓒKyungsub Shin
SITE PLAN
SECTION
SECTION
1st FLOOR PLAN
2nd FLOOR PLAN
3rd FLOOR PLAN

 

 

Architect AGIT STUDIO
Location Janjun-dong, Geumjunggu, Busan, Republic of Korea
Program Library, Single-family House
Site area 220.50㎡
Building area 113.50㎡
Gross floor area 198.51㎡
Building scope 2F
Building to land ratio 51.47%
Floor area ratio 90.03%
Design period 2018. 1 - 2020. 1
Construction period 2019. 2 - 2020. 1
Completion 2020. 1
Principal architect Jamin Seo, Guen-il Huh
Structural engineer In structure
Construction Cheahuh construction
Photographer Kyungsub Shin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22년 9월호(Vol. 496)에 게재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September, 2022 recent projects of the magazine(Vol. 496).

 

September 2022 : vol. 496

Contents : RECORDS "SHINGIL MIDDLE SCHOOL" TO PROPOSE A NEW SCHOOL SPACE STRUCTURE THAT WON THE 40TH SEOUL ARCHITECTURE AWARDS 새로운 학교 공간 구조를 제안한 ‘신길중학교’ 제40회 서울시 건축상 대상 수상 : NEWS / COMPETITION

anc.masilwide.com




'Architecture Project > Edu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BERT-KOCH-HIGH-SCHOOL  (0) 2023.03.03
LYCÉE SIMONE VEIL  (0) 2023.01.31
GEUMSAEM LIBRARY  (0) 2022.12.19
DOBRA 55  (0) 2022.12.15
GUMI MUNICIPAL YANGPO LIBRARY  (0) 2022.12.13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