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lson Kon


The government of the state of Pernambuco designated one of the warehouses of the old port of Recife and a large adjacent area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useum. This area is located by the quay, on the island where Recife was founded, the so-called ground zero, an area which is national heritage. In line with the urban proposition of the state and the municipal government of maintaining the old warehouses of the port and assigning new functions to them, the architectural project was developed re-adapting one of the warehouses and creating a new building connected to it, reinforcing the elongated layout of the constructions of the port, in order to accommodate the museum. Due to the importance of the location and the sociocultural program, the museum in conjunc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 shall also create a new urban landmark in the cityscape of Recife. It shall function as an agent for the urban regeneration of the historic center as a whole, strengthening the connections of the city with its water resource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 case, the museum also brings to the seashore of the metropolis the vast world of the Brazilian northeastern backland(Sertao), generally marked by a very dry climate.


© Nelson Kon


Besides paying tribute to one of the greatest icons of Brazilian culture -Luiz Gonzaga, the museum intends to show the backland in all its multiple facets that form one way of being Brazilian. architecture and exhibition design work in synchrony on the museum subject: The backland. The concrete with ochre pigments represents the hot color of the soil of the agreste. With a sophisticated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the large 65m span clears the ground for a grand shaded public plaza -An urban veranda-, a shelter from the strong local sunshine or the rainfall in the city. This covered plaza is a space for coming together, par excellence: celebrations, fairs, performances, etc.


© Nelson Kon


The most important architectural element is the giant Cobogo facade, made of precast brise-soleil components, designed especially for the project. The use of Cobogo could not be more appropriate in Recife, where this construction element first came about, due to its ability to ease the rela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creating a light filter for those who are inside and look at the view outside through “twigs”, and a “sweet and softened” view for those who are outside, passers-by who spy on the interior. The Cobogo is made of geopolymer concrete and works as a large white lace, pale in contrast to the structural yellow concrete, in reference to the caatinga vegetation, or the cracked patterns of dry soil. This drawing also became the logo for the museum.


© Nelson Kon


Since its opening, the museum has been visited by a diverse public and schools. By showcasing the lifestyle and culture of the backland in a modern building by the quay in the capital of Pernambuco, the museum aims to be an eye-opener for a universe that is simultaneously rich and poor, tragic and festive, violent and poetic, and that belongs to a large part of the inhabitants of the vast territory of the backland. The essence of the museum is the encounter between technique and poetics, hi-tech and low-tech, rigorous and rich contents and the possibility of open interpretation and experience; a place for aesthetic enjoyment, where emotion, surprise and discovery come together.


© Nelson Kon


까이스 두 세르따 박물관 

페르남부쿠 주 정부는 박물관 건설을 위하여 주도인 헤시페의 옛 항구에 있는 창고 하나와 인접해 있는 넓은 지역을 지정했다. 이 지역은 헤시페가 세워진 섬에 부두를 따라 위치하고 있고 소위 시작점, 국가 유산이 있는 지역이다. 항구에 있는 오래된 창고들을 유지하는 것과 그것들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는 것에 대한 주 정부와 시 정부의 도시 명제에 맞추어 박물관을 수용하기 위하여, 그 창고들 중에 하나를 재조정하고 그곳에 연결된 새로운 건물을 만들어 항구 건설의 연장된 배치를 보강하는 건축 프로젝트를 개발하였다. 그 위치와 사회문화적 프로그램의 중요성 때문에, 주변 지역과 연계하여 헤시페의 도시경관에 새로운 랜드마크를 조성해야 했다. 수자원과의 도시 연계를 강화하여 역사적 중심지 전체의 도시 재생의 동인으로 기능해야 했다. 또한, 이 사례에서, 박물관은 매우 건조한 기후를 특징으로 가지고 있는 브라질 북동부의 오지(Sertao, 세르탕)의 광활한 세계를 대도시의 해변으로 가져온다.


© Joana Franca


게다가 박물관은 브라질 문화의 위대한 아이콘인 로이즈 곤자가에 대한 경의를 표현하기 위하여 브라질 사람이 되는 방법에서 시작하는 다층적인 측면으로 오지를 보여주려고 한다. 박물관 주제인 동시에 건축과 전시의 디자인 작업의 주제는 “오지(The Backland)”이다. 오커 색소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시골 토양의 강렬한 색을 표현한다 프리케스트 콘크리트의 정교한 구조와 거대한 65m 폭은 도시의 베란다인 웅장하고 그늘진 광장을 햇빛 또는 비를 피하는 쉼터로 명백하게 한다. 이 덮인 광장은 축하, 박람회, 공연 등에 매우 훌륭한 함께 모일 수 있는 공간이다.


© Nelson Kon


가장 중요한 건축 요소는 거대한 코보고 파사드이며, 이는 블록으로 성형된 브레이즈 솔레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프로젝트를 위해 특별히 디자인되었다. 코보고의 사용은 실내와 실외 사이에 관계를 완화하는 능력 때문에 건설 요소가 가장 먼저 나왔던 헤시페에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었지만 실내에서 “잔가지들”을 통해 보는 바깥 전망이나 실내를 염탐하는 바깥에 있는 행인들을 위한 “달콤하고 부드러운” 전망을 보는 사람들을 위한 가벼운 필터가 된다. 코보고는 지오폴리머 콘크리트로 만들어져 있고 커다란 흰 레이스로 기능하지만 카팅가 초목 또는 건조한 흙의 갈라진 패턴을 참조한 구조적 노란 콘크리트와 반대로 창백하다. 이 그림은 또한 박물관의 로고가 되었다.



개관 이후 박물관에 다양한 일반인들과 학생이 방문했다. 박물관은 페르남부쿠의 주도에서 부두를 따라 있는 현대적인 건물에 오지의 삶의 방식과 문화를 보여줌으로써 풍요로우며 가난하고, 비극적이면서 축제 같고, 폭력적이면서 시적인 동시에 오지의 거대한 영토의 거주자 대부분이 속하는 하나의 우주에 눈을 뜨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박물관의 본질은 기술과 시, 첨단 기술과 낮은 기술, 엄격하고 풍요로운 콘텐츠 그리고 열린 해석과 경험의 가능성이 만나는 것이다. 즉, 감동, 놀라움, 발견이 함께 있는 미학적 즐거움의 장소이다.




Architects BRASIL ARQUITETURA

Location Recife, Pernambuco, Brazil

Program Museum

Site area 7,000㎡

Building area 5,000㎡

Completion 2018

Principal architect Francisco Fanucci, Marcelo Ferraz 

Collaboration Pedro Del Guerra, Cicero Ferraz Cruz, Luciana Dornellas

Design team Anne Dieterich, Beatriz Marques, Fabiana Paiva, Felipe Zene, Fred Meyer, Gabriel Mendonca, Gabriel Grinspum, Julio Tarrago, Victor Gurgel

Interns Guilherme Tanaka, Laura Ferraz, Roberto Brotero, William Campos

Construction manager Colmeia Arquitetura e Engenharia Ltda

Construction company Consorcio Gusmao concrepoxi 

Landscape Andre Paoliello

Structure design Fabio T. Oyamada

Electrical engineer & Hydraulic design MBM Engenharia

Photographer Nelson Kon, Joana Franca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019년 9월호(Vol. 460)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September, 2019 issue of the magazine(Vol. 460).




'Architecture Project > Cultur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SHED  (0) 2019.11.29
HONGDAO BAY  (0) 2019.11.26
CHANGWON NC PARK  (0) 2019.11.21
Bangkok’s Gaysorn II  (0) 2019.10.21
GUAIBA WATERFRONT URBAN PARK  (0) 2019.10.18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