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ekyung Kim


The Under Stand Avenue, which connects the city and park, is located in a significant location. The site, an area between Seoul Forest Station and Seoul Forest, is a daily space where pedestrian network is presumed and public flow continues. At the same time, it is a cultural space where functions of the city flow in, creating a complex space that also have educational and industrial functions for community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The interior space and external space connected to it is secured through the stacking of containers. The formation created is expected to become a new icon of the region, enabling this area to be perceived as a cultural space where inhabitants live and work together.


ⓒ Jaekyung Kim


Container typology study

case 01 The unit space of a 40ft HC marine container is used

case 02 Containers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sidewalls are removed to secure a large area

case 03 Containers are stacked to form a high floor height on the same unit area

case 04 Containers are stacked vertically to make the space between them into interior space.

case 05 New exterior spaces are created at various levels made by container groups


ⓒ Jaekyung Kim


The facilities facing the public pathway create colorful scenery on both sides of the pathway. Though it is an assemblage of more than 120 containers, efforts were made to achieve a small structure so that the facility is not too massive. To mix trivial, everyday stories that unfold in this area, the facility is open toward the street and it was intended for internal activities to flow outside.

Based on creating a fixed environment, there are a few essential factors that must be kept in order for a container, a component of industrial resources, to be transformed into a piece of architecture in the city center. This is because it must go from the inherent function of [the loading of things] to a structure that contains the complex nature of [the daily life of people]. Using containers was not just a matter of cost. It is a project that had greater social value in terms of recycling of industrial resources than the reduction of construction cost. It was also an experiment to see if the program contained in the container could be appropriately unitized into a space of 30m2 or less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shape of the container. Of course, it is difficult to explain everyday life in this place with a certain-size module, but the hardest part is to self-define the limits of the container because it would be missing the point of container utilization if excessive alterations and new interpretations of space were emphasized for that reason.

Socially, spaces that utilize containers are being produced frequently. Most of these are newly constructed to be shaped like containers rather than recycling containers. It is not the industrial resources that used to cross the sea as a pillar of industry playing a new role in architecture, but container-like structures being built in factories and entering the site. I believe this is inappropriate even if it were an inevitable choice concerning cost, structure or appearance, and think that it would have more value to create a landscape in which images of both industry and architecture are mixed with stacked experience of years and where memoirs of loaded objects remain intact. 

Text offer: studio METAA


ⓒ Jaekyung Kim


언더 스탠드 에비뉴 

도시와 공원을 연결하는 <언더 스탠드 애비뉴>는 매우 중요한 영역에 위치한다. 전철역 서울숲역과 서울숲의 사이영역인 대지는 보행의 네트워크가 전제되고 공공의 흐름이 이어지는 일상의 공간이면서 도시의 기능이 공원으로 이어지는 문화의 공간이 되며 지역사회의 발전과 소통을 위한 교육과 산업의 기능도 수행하는 복합의 공간이 되도록 조성한다. 컨테이너의 적층을 통하여 필요한 실내영역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와 연계하는 외부공간을 조성하고 이들이 만들어 내는 조형성이 지역의 새로운 아이콘으로 자리 잡도록 하여 이 영역이 주민의 일터이자 생활과 함께 하는 문화공간으로 인식되기를 기대한다.


ⓒ Jaekyung Kim


Container typology study

case 01 40ft HC 해상컨테이너의 단위공간 사용

case 02 컨테이너를 병렬로 연결하고 사이 벽체를 철거하여 넓은 면적을 확보

case 03 컨테이너를 상부로 적층하여 동일한 단위면적에서 높은 층고의 조성

case 04 컨테이너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사이의 공간을 실내화 하여 대공간 조성

case 05 컨테이너 군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레벨의 새로운 외부공간 조성


ⓒ Jaekyung Kim


공공의 통로에 면한 시설은 통로 양 측에서 다채로운 풍경을 만들어낸다. 120여 개의 컨테이너 집합체이지만 시설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도록 작은 건축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고, 이 곳에서 펼쳐지는 소소한 일상의 작은 이야기들이 섞이기 위하여 길을 향하여 시설은 개방되고 내부의 활동이 외부로 이어지기를 의도하였다.

산업자원의 한 요소인 컨테이너가 정주환경의 조성을 전제로 도심에 위치하여 건축물로 변모하기 위해서 지켜야하는 몇가지 요소가 있다. 이는 ‘사물의 적재’라는 고유의 기능에서 ‘사람의 일상’이라는 복합적 성격을 담는 건축물이 되어야하기 때문이다.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것은 단지 비용의 문제는 아니다. 이는 공사비의 절감보다는 산업자원의 재활용 차원에서 더 큰 사회적 가치를 갖는 작업이었으며 가급적 컨테이너의 원형을 유지하면서 내부에 담는 프로그램이 30m2 남짓의 공간에 적절히 단위공간화 될 수 있는가에 대한 실험이었다. 물론, 이 곳에서의 일상은 일정 크기의 모듈로 설명하기 어렵지만 그렇다고 이를 이유로 지나친 변형과 공간의 새로운 해석이 강조되면 컨테이너 활용의 취지를 벗어나게 되므로 이의 한계를 스스로 규정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점이다.

사회적으로 컨테이너를 활용하는 공간의 생성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 중 대다수는 컨테이너의 재활용이 아닌 컨테이너 모양을 낸 신축이다. 산업의 역군으로 바다를 건너던 산업자원이 건축의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컨테이너를 닯은 구조물이 공장에서 신축되어 현장으로 들어오는 것이다. 이는 비용 및 구조 그리고 외관과 관련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일지라도 적어도 옳은 일은 아니라 판단된다. 세월의 경험이 적층되고 사물 적재의 기억이 고스란히 남아, 산업과 건축의 두 이미지가 혼성되는 풍경을 만들어 내는 것이 더 큰 의미가 있는 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글 제공: 스튜디오 메타


ELEVATION

1ST FLOOR PLAN



Architect studio METAA

Location Sungdong-gu, Seoul, South Korea 

Use Culture - Exhibition, Park 

Site area 5,802m2 

Site coverage area 323.8m2 

Total floor area 997.9m2 

Landscape area 829.4m2 

Building-to-land ratio 5.58% 

Floor area ratio 5.58% 

Building scope B2F - 1FL 

Structure Maritime Container + Hybrid Container 

Height 8.7m 

Project architect METAA / Woo Euijung + Yi Sangjin 

Architecture design Eunsook Lee, H-Sung Kim, Youngbae Kim, Arm Sin 

Structural engineer Gawon 

Construction YooChang 

Photographer Jaekyung Kim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2월호(Vol. 429)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February issue of the magazine (Vol. 429)




'Architecture Project > Cultur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Akagane Museum  (0) 2017.06.20
China Academy of Arts’ Folk Art Museum  (0) 2017.06.19
Zi Bo The Great Wall Museum of Fine Art  (0) 2017.06.19
The Indian Heritage Center  (0) 2017.06.19
Elizabethan Theatre  (0) 2017.06.19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