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k Youngchae


Park Youngchae


Does the shape of space have to have inevitable order? What meanings do the basic conditions such as history and shape of land and rules and forms which determines the space have? Is the promise to observe rules valid? Furthermore, does such thing exist? What is universal value? Is it implied consent made by ordinary perspective to deal with them in a familiar and convenient way?

What would be possible if stereotype is given up? Is the beginning and direction to which my imagination and senses are applied arbitrary after all? Is the judgment and determination in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concept made based on arbitrary choice? However, if the result is not accepted in the social category required for the space, is it possible for that to create difference? Even if it is mutation, is the value of diversity which is created from being different also important?” As the cuisine on dish is not the will of chef but accidental results of material combination, would the work to embrace function and shape be sufficient if it becomes it naturally.

Is the shape in architectural work supposed to be the result of response to the given condition? Instead of fighting against the condition to comply with rules and regulations, would it be more natural to follow them? If the artificial will becomes artificial consequence, where should voluntary intention be placed? Is it not possible for something accidental to become something inevitable? If catching accidental events is the motive of voluntary behavior, is it also inevitable?

Since the reason for it to be done in such a way is the consequence of my emotion, is it inevitable for me regardless of universality and which response it will induce?


Park Youngchae


공간의 형태는 필연적인 질서를 가져야 하는가.

땅의 내력이나 모양, 규범과 형식 등

공간을 결정하는 기본적인 조건들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맥락은 어디에서 시작되는 것인가.

또는 비례의 기준은 무엇에 근거하는가.

규범을 지켜야하는 약속은 타당한 것인가.

나아가 그런 것이 과연 있기나 한 것인가.

보편적 가치란 무엇인가.

그것은 익숙하게 편리하게 쉽게 다루려는 일상의 관점이 만든 암묵적인 합의가 아닐까.

그것, 고정관념을 버린다면 무엇이 가능할까.

나의 상상과 감각이 작용하는 시작과 방향은 결국 자의적일 수밖에 없지 않은가.

개념의 설정과 전개에서 판단과 결정은 임의의 선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가.

하지만 그 결과가 그 공간에 요구되는 사회적 범주에 수용되는 것이라면 그것은 차이의 생성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설혹 그것이 돌연변이일지라도 서로 닮지 않아 생기는 다양성의 가치 또한 중요하지 않은가.

접시에 올린 요리의 모양이 요리사의 의지이기보다 재료의 조합에 의한 우연의 것이듯

기능과 형태를 공간으로 담아내는 일은 저절로 그리 되면 그만이지 않을까.

건축의 작업에서 형태는 주어진 조건에 반응한 결과일 수밖에 없지 않은가.

규범을 지키려 조건과 싸우기보다 그것을 따르는 것이 더 자연스럽지 않을까.

인위적 의지가 결국 작위적인 결과로 될 수밖에 없다면 자의성은 어디에 자리 잡아야 하는가.

우연의 것이 필연이 될 수는 없는 것인가.

우연의 포착이 자의적 행위의 동기가 된다면 그 또한 필연이지 않을까.

반드시 그렇게 되어야 하는 이유가 나의 감성에서 비롯된 결과이니 그것은 나만의 필연이 아닐까.

보편성과 어떤 반응을 일으킬 것인 지와는 관계없이......


Park Youngchae



Architect: Kim in-cheurl+archium

Designer: An Su In

Location: Gangnam-gu, Seoul, Korea

Site area: 303㎡

Building area: 140.87㎡

Total floor area: 718.08㎡

Building scope: B1F, 5F

Structure: RC structure

Outside finishing: Exposed Concrete, T24 Low-E pair glass

Structural engineer: Lee Juna

Construction work: COAZ

Design period: 09.2013~03.2014

Construction period: 04.2014~12.2014

Photographer: Park Youngchae



...





'Architecture Project > Off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J·H BUILDING/ CHOI ARCHITECTS  (0) 2017.01.06
回畵齋/ NEED21  (0) 2017.01.06
SUWOJE/ ZMJ ARCHITECTS  (0) 2017.01.06
FUTURE DESIGN CENTER/ THE_SYSTEM LAB  (0) 2017.01.06
CASA GEOMETRICA/ JOHO ARCHITECTURE  (0) 2017.01.05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