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yung Roh


Osiri Gareum Cooperative Housing is a collective housing area where people near retirement who are willing to return to rural made. It is a housing cooperative consisting of 16 households. There was not a certain community from the beginning. At first it consisted of three households, and it has grown its number. Through a consumer participation process such as a meeting of union members for promoting friendship every weekend, more than 20 times design meeting, visiting the construction site, meeting with union members for housing management and community regulation establishment and others, they have built an affordable housing and have gathered their neighbors.


ⓒ Kyung Roh


The community is considered in two aspects. First one is a 16-housing community. A community house for union members was placed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backside, and it will be utilized as a public kitchen where people can share foods. The other one is the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y. Near the frontal road of the complex, a small library is placed and open to public. Many books filling bookshelves of the library and cultural programs such as a conversation with authors can make the housing cooperative to have an interactiv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 Kyung Roh


The Osiri Gareum Housing recognizes existing neighbors who can group together with the existing small village and share everyday life. Surroundings consist of the Jeju’s general house type like a main building, an outbuilding, and a storage, and they are single story buildings finished with slate roof and paint. The complex was arranged for an individual house to have a moderate distance and to build an exterior space with boundaries that neighbor’s fences are making. Misalignment arrangement of houses along the Jeju Olle Route makes privacies as well as open view. At the entrance of the complex one can see a public parking lot, and he or she can meet neighbors’ eyes gradually as he or she walks along the Olle Route for pedestrian.


ⓒ Kyung Roh


Prototype of the house has a large area in the first floor and a small area in the second floor. For the people who are moving from large apartments to 30-pyeong two story small house, the first floor is planned for them to have a sense of having a large living room, and the second floor is planned for them to have a unique sense of a house by arranging a small but wide terrace. By reflecting the individual’s’ lifestyle, all houses have different floor plans. From the outside perspective the complex forms a community by homogeneity and the insides of the houses reflect personal lifestyles.


ⓒ Kyung Roh


Vincent Scully said that Glass house by Philip Johnson ‘seemed to eliminate everything between human and nature by individual human and to be completely extricated from the entire humans’ community’. Houses of which retired people usually think as returning rural area, such as a house in nature, are existing irrelevant to a community. Realistic life of them is keeping watching surroundings via CCTV and separating themselves from a social relationship. 


ⓒ Kyung Roh


Existing local housing area has become hollow and aging by developing new surrounding housing area. The Osiri Gareum Housing is a ‘voluntary example’ which reproduce an existing housing area by forming a housing community culture. The program process of the community operation for grouping moving and inside and outside is i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union members for 4 years from the beginning, the discussion and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present Osiri Gareum Housing cooperative community by the leadership.


ⓒ Kyung Roh


오시리가름 협동조합주택은 은퇴를 앞 둔 사람들이 모여 만든 귀촌하는 주택단지다. 16가구로 이루어진 주택협동조합으로, 특정한 커뮤니티가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초기 세 가구로 시작하여 점차 이웃이 될 조합원을 늘려갔다. 친목을 도모하는 매 주말의 조합원 회의, 20회가 넘는 설계회의, 시공 현장 방문, 주택관리와 커뮤니티 규정 수립을 위한 조합원 회의 등 소비자 참여 프로세스를 거쳐 부담 가능한 주택(affordable housing)과 함께 살 이웃을 만들었다.


ⓒ Kyung Roh


커뮤니티는 두 가지 차원으로 고려된다. 하나는 16가구의 주거 커뮤니티이다. 조합원들을 위한 커뮤니티하우스를 후면 마을길 초입에 두고 함께 모여 음식을 나누는 공동주방으로 활용한다. 다른 하나는 지역사회와의 관계다. 단지 전면 도로를 면하여 작은 도서관을 두고 공공에 개방한다. 도서관의 서가를 가득 채운 책과 저자와의 대화 등 문화 프로그램 운영은 지역 사회와 주택협동조합이 교류하는 관계를 만든다.


ⓒ Kyung Roh


오시리가름 주택은 소박한 기존 마을과 조화되고 일상생활이 겹쳐지며 공유하는 이웃이 있음을 인정한다. 주변은 제주 촌락이 가진 기본적인 살림채의 구성인 안채, 바깥채, 창고로 구성되며 슬레이트 지붕과 페인트로 마감된 단층 건물들로 이루어져 있다. 단지는 독립적인 건물들이 적당한 거리를 가지고 이웃집의 벽이 경계가 되어 외부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었다. 단지 내 올레길을 따라 서로 조금씩 엇갈려 배치된 주택은 사생활의 시선방향을 존중하면서 동시에 주변으로 열린 시선을 가진다. 단지 초입에 공동주차장을 두고 보행전용으로 만들어진 올레길을 걸어가면, 이러한 엇갈림 속에서 이웃과 조금씩 시선이 마주치게 된다.


ⓒ Kyung Roh


주택은 1층이 넓고 2층 면적이 작은 프로토타입에서 시작한다. 넓은 아파트에서 30평 남짓한 2층 주택으로 살림을 줄여가는 조합원들에게, 1층은 기존 아파트의 넓은 거실의 공간적 질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2층은 방은 작지만 넓은 테라스를 두어 주택만이 가질 수 있는 공간적 질을 가지도록 계획된다. 프로토타입에서 시작하여 개인 생활에 따른 1층과 2층의 사용용도가 반영되어 16가구 모두 다른 평면으로 계획되었다. 


ⓒ Kyung Roh


외부에서 바라본 주택들은 균질함으로 공동체를 형성하고 내부의 개인공간에는 각자의 생활 방식이 반영된다. 빈센트 스컬리는 필립 존슨의 글라스 하우스가‘ 개별적인 인간이 자신과 자연 사이에 놓인 모든 것을 없애고 전체 인간 커뮤니티에서 완벽하게 해방된 것처럼 보인다’고 하였다. 은퇴인들이 귀촌이라고 하면 흔히 떠올리는 자연경관 속에 오롯이 놓인 집들은 커뮤니티와 무관하게 존재한다. 


ⓒ Kyung Roh


실제 그 삶은 항상 CCTV로 주변을 경계하고 사회적 관계에서 스스로를 분리시킨다. 반면 기존 지역 사회 주거지는 주변에 새롭게 개발되는 주거지로 인해 공동화되고 거주민들은 노령화되고 있다. 오시리가름은 주거공동체 문화의 형성으로 기존 촌락을 재생하는 ‘자발적 시범 사례’이다. 기존 주거지로의 집단적 이주와 내외부를 위한 커뮤니티 프로그램의 운영의 모든 과정은, 기획부터 입주 이후까지 이어온 4년 여 라는 시간동안 조합원들의 자발적인 참여, 토론과 민주적 의사결정, 그 속에서의 리더십 발현으로 만들어진 현재의 오시리가름 주거공동체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DIAGRAM


DIAGRAM


PROTOTYPE A


PROTOTYPE B



Architect EMA Architects & associates

Location Gasi-ri, Byosun, Jeju, Reppublic of Korea 

Program house, community facility 

Site area 6,960㎡

Building area 1,260㎡

Gross floor area 1,700㎡

Building scope 2F 

Building to land ratio 18.11% 

Floor area ratio 24.46% 

Design period 2014.7 - 2015.3 

Construction period 2015.5 - 2016.6

Completion 2016.6

Principal architect Eunkyung Lee 

Design team Mijung Cha, Soojee Park, Jonghyun Her, Donghyun Kim 

Photographer Kyung Roh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11월호(Vol. 438)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November issue of the magazine (Vol. 438)




'Architecture Project > Multi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56 Apartments  (0) 2018.01.29
The Silo  (0) 2018.01.26
CIRQUA APARTMENTS  (0) 2018.01.24
The Six  (0) 2018.01.23
Walmer Yard  (0) 2018.01.22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