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hn Nam Yong


Low-income housing design with low budget (KRW 150million)
Tango-House was born with the medium of dance. Two ordinary couples in Ulsan met while tango dancing, and needed a house to share the tango. The plan to build a house that started with an amount of KRW 150 million, an amount which cannot even buy an apartment,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efforts of the architects and couples to create a special space for dancing. The site is in a small rectangular garden on the outskirts of the city, surrounded by 50-year-old Hanoks (Korean traditional houses).


A practical space plan consisting of minimum walls (structures) and circulation
“The first reaction to the 24pyeong (79.3m2) house is that it seems bigger than its actual size”
Most of Korea’s 20-30pyeong (66.1-99.1m2) apartments basically have various options of 2-3 rooms, 1-2 toilets, a living room, etc., but each has a clear boundary so that the flow of space is interrupted, and not all of these spaces are used as intended.
The space in this house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rivate (bedroom) and public (living room).
With the service spaces between these two spaces (i.e. the dressing room, bathroom, utility room, courtyard) in which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space is organized and their roles become clear. The everyday flow of the two couples naturally uses all space in the house.


ⓒ Ahn Nam Yong


Customizable space planning for the family plan.
The two separate living spaces, centered on the core, have two corridors to the south and north sides. In accordance with the family plan, the hidden adaptable wall divides the main bedroom into two spaces, and the two corridors naturally become the main circulation, fit for each room.


A passive house plan using storage space.
The long wall in the corridor at the north end has storage space, which can be somewhat lacking in a house, enabling the couple to store things according to use or season. In addition, the built-in storage space naturally increases thermal efficiency and creates a functional space that assists with insulation.


ⓒ Ahn Nam Yong


The various views and lightings produced by the proportions of the Hanok and modern windows.
The advantage of the having a scenic view that only a house in the suburbs can have, is an important point that only this space can express. The sky spread out over the courtyard of the main bedroom, the ginkgo trees that exhibit colors of the four seasons, the beautiful colors and lines of the 50-year-old Hanok’s tiles are displayed through the window like a painting on canvas. The front folding door at the south end can be extended to the outside decks during the spring, summer and autumn, doubling the size of the living room and playing the role of a traditional patio in which the family gathers together to dance or rest while enjoying cool breezes. In the winter, it is a space where they can enjoy tea and chat in warm sunshine.


ⓒ Ahn Nam Yong


A structure (form) that uses the terrain of the site as space.
In architecture, the site is also the starting point for creating “an important relationship (context)”.
The characteristics and shape of the site can determine the shape, size and orientation of the building. As the site of Tango-House is a small rectangular tiered field, a rectangular space had to be laid along the shape of the site. However, if one simply dug a hole in the ground and placed a concrete box on it, it would be incongruous.
Recalling the shape of the land where Mother farmed the fields, the way of designing a lump of concrete to seem light and cheerful was to make a high heel structure. With the service space in the middle of the building as the axis of the structure, the main bedroom in the rear of the mass was elevated. The external mass naturally gets a lighthearted rhythm along the shape of the site, and as for the interior space, tiered levels from living room to main bedroom provide a deeper, cozier space.


A year-round garden that utilizes 200% of a small site
The Pocket Winter Garden in front of the south end of the main bedroom is a hidden space planned along the wall on the site border. Even in the winter, warm sunlight from the south end creates a small and cozy space. Conversely, the outer space on the north side was planned as a summer garden where the rectangular walls of the main building block the strong sunlight in the summer. The deck in the east side was designed to be extended for various uses year-round.


ⓒ Ahn Nam Yong


Conclusion
The ultimate essence is to make spaces for people, of which residential space is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space. However, many people have become accustomed to the patterned residential space of apartments, and have yet to experience the value and possibilities of space. Rather, there are still many people who believe that one needs to have money to spare in order to build a house. We believe that the understanding and necessity of housing culture that suits individual taste and purpose is the biggest issue of modern architecture, and thus focused on the research of low-cost housing. People’s lives change rapidly and they pursue diversity. As such, a residential space now should be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various experiences of human beings. Though the issue of low-budget housing can be a hot topic for the supply of residential culture, we will make an effort to research and plan various forms of residential spaces with the aim of changing the perception of building a house and diversifying of residential space. Also we hope that through Tango-House, various experiments and approaches of low-budget housing and space planning concepts will help and expand Korean housing culture.


ⓒ Ahn Nam Yong


저예산(1억5천) 서민형 주택 설계
Tango-House는 춤이 매개체가 되어 시작되었다. 울산에 평범한 두 부부가 탱고를 추다가 만났고 그들은 탱고와 함께할 집이 필요했다. 1억 5천이라는 아파트 한 채 살수 없는 금액으로 시작된 건축계획은 춤을 위한 그들만의 특별한 공간을 만들겠다는 건축가와 부부의 노력으로 완성되었다. 건축물은 도심 외곽에 있는 50년 된 한옥들이 둘러싸인 작은 장방형 텃밭에 계획되었다.


최소한의 벽(구조물)과 동선으로 구성된 활용적인 공간계획
“24평의 집의 첫 반응은 공간이 평수에 비해 커보인다”
한국의 대부분의 20 - 30평대 아파트의 공간은 기본적으로 방이 2-3개, 화장실 1-2개, 거실 등 옵션이 다양하지만 각각의 경계가 명확히 나누어져있어 공간의 흐름이 단절되어 있고 이 모든 공간들이 목적에 맞게 활용되지 못한다. 이 집의 공간은 크게 2개의 공간으로 분리 된다. 사적인 공간(침실)과 공적인 공간(거실). 이 두 공간 사이에 소통이 가능한 서비스 공간(드레스룸, 화장실, 다용도실, 중정)이 자리잡으면서 공간은 정리되고 그 역할이 확실해진다. 두 부부의 생활 동선은 자연스럽게 이 집의 모든 공간들을 사용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구조다.


ⓒ Ahn Nam Yong


가족계획 맞춤 가변형 공간계획
중앙 집중형 코어를 중심으로 나누어진 두 개의 생활공간은 남, 북으로 두 개의 복도를 두고 있다. 가족계획에 맞추어 안방은 숨어있는 가변식 벽으로 인해 두 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지고 두 개의 복도는 자연스럽게 각 방에 맞춰진 주 동선이 된다.


수납장을 활용한 패시브 하우스 계획
북쪽 통로에 위치한 긴 벽에는 주택에서 다소 부족 할 있는 수납공간을 계획, 계절별로 사용하지 않는 물건들의 수납이 가능하다. 또한, 북쪽의 붙박이장으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공간의 열효율을 높여주고 단열을 도와주는 기능적인 공간이 형성된다.


PLAN


한옥의 비례감과 현대의 창호가 만들어내는 다양한 뷰와 채광 
도심이 아닌 도심 외곽의 주택만이 가질 수 있는 주변 경관이라는 장점은 이 공간만이 표현할 수 있는 중요한 포인트이다. 안방의 중정 위로 펼쳐진 하늘과 안방 창문으로 보이는 사계절 변화의 색을 간직한 은행나무 그리고 50년 된 전통 한옥들의 아름다운 기와의 색과선들이 캔버스에 그려진 그림과 같이 창호에 투영된다. 특히 남쪽으로 계획된 전면 폴딩 도어는 봄, 여름, 가을에는 외부의 데크로 확장이 되어 거실의 크기가 배가 되며 시원한 바람을 즐기며 춤을 추거나 가족이 모여 춤을 추고 쉴 수 있는 대청마루의 역할을 한다. 또한, 겨울에는 따뜻한 햇살을 담으며 차를 즐기고 담소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이 된다.


SECTION


대지의 본 지형을 공간으로 가져온 구조(형태)
건축에서 대지는‘ 중요한 관계(Context)’를 만드는 시작점이기도하다. 대지의 특징과 모양이 건물의 형태, 크기, 방향을 결정하기도 한다. 탱고하우스의 대지는 작은 장방형의 계단식 밭이므로 대지의 형태를 따라 직사각형의 공간이 배치되어야 했다. 그러나 단순히 땅을 파고 콘크리트 박스가 놓인다면 그 이질감은 상당히 크고 답답할 것이다. 어머니가 밭 농사를 지으시던 땅의 형태를 기억하고 무거워 보일 수 있는 콘크리트 덩어리 집을 가볍고 경쾌하게 보이려 구상해낸 방법이 하이힐 구조였다. 건물 중간의 서비스 공간이 구조의 축이 되어 뒤쪽 안방의 매스를 들어올렸다. 외부의 매스는 자연스럽게 대지의 모양을 따라 경쾌한 리듬을 가지게 되고 실내 공간은 거실에서 안방까지의 단계별 레벨이 보다 깊이 있고 아늑한 공간을 제공한다.


작은 대지를 200% 활용하는 사계절 가든
안방 남쪽 앞에 계획된 포켓 윈터가든은 대지 경계선 담벼락을 따라 계획된 숨겨진 공간이다. 겨울에는 남쪽에서 들어오는 따뜻한 햇살이 작지만 아늑한 공간을 만들어준다. 반대로 북쪽에 계획된 외부공간은 본채의 장방형 벽이 여름에 들어오는 강한 햇살을 막아주는 썸머가든으로 계획되었다. 그리고 동쪽으로 계획된 데크는 사계절 다양한 용도로 확장 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궁극적인 본질은 사람을 위한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주거 공간은 가장 기본적인 필수 공간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많은 사람들은 아파트라는 패턴화 된 주거 공간에 익숙해져 그 가치와 가능성에 대해서는 경험을 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아직까지 주택 건축은 돈이 있고 여유가 있어야 할 수 있는 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누구나 개개인에 취향과 목적에 맞는 주거문화의 이해와 필요성이야말로 현대 건축의 가장 큰 이슈라고 생각하고 저가형 주택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우리의 삶은 빠르게 변하고 다양함을 추구한다. 이렇듯 주거 공간도 그 흐름에 맞춰 인간의 다양한 경험을 담고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비록 현재의 이슈가 주거문화의 보급을 위해 저예산 주택이란 부분이 화두가 될 수는 있어도 앞으로 주택 건축에 대한 인식변화와 주거공간의 다양성을 목표로 다양한 형태의 목적의 주거 공간을 연구하고 계획하는데 노력할 것이다. 또한 탱고하우스를 통하여 저예산 주택계획과 공간 계획 개념의 다양한 실험과 접근이 한국형 주택 문화 보급에 도움이 되고 확대되길 기대해본다.


 

Architect ARCHINOMICS + Beom Kwan Kim

Location Samgwang-ri, Onyang-eup, Ulju-gun, Ulsan, Republic of Korea 
Program HOUSE 
Site area 270m2 
Building area 79.05m2 
Gross floor area 79.05m2 
Building scope 1F 
Building to land ratio 29.28% 
Floor area ratio 29.28% 
Design team Jin Kim, Youngwoo Suh, Beom Kwan Kim
Construction Archinomics 
Photographer Ahn Nam Yong



해당 프로젝트는 건축문화 6월호(Vol. 433)에 게재 되었습니다.

The project was published in the June issue of the magazine (Vol. 433)




'Architecture Project > Single Fam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ENT HOUSE  (0) 2017.08.31
Oyamadai House  (0) 2017.08.30
House of scenes  (0) 2017.08.25
Chalet Whymper  (0) 2017.08.01
VOICE  (0) 2017.07.31


마실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03630 | 등록일자 : 2015년 03월 11일 | 마실와이드 | 발행ㆍ편집인 : 김명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지희 | 발행소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로8길 45-8 1층 | 발행일자 : 매일













위로가기